교육부가 문재인 정부의 대선공약이었던 ‘고교학점제’를 본격 추진한다. 차관 중심으로 중앙추진단을 꾸리고 연구·선도학교를 대폭 확대해 제도 안착 가능성을 가늠하기로 했다.
교육부는 11일 ‘2019년 고교학점제 도입 추진동력 강화 방안’을 발표하고 학교별 세부 추진과제를 공개했다. 지난해부터 운영한 고교학점제 연구·선도학교를 105개 학교에서 354개 학교로 대폭 늘리고 교과중점학교도 163개 학교에서 226개 학교로 늘린다. 내년 고교학점제 종합추진계획 발표를 앞두고 최대한 현장 작동 가능성을 시험해보겠다는 취지다.
내년에 당장 고교학점제를 도입하는 직업계고에 대해서도 ‘전공심화형’ ‘전공융합형’ 등 구체적인 교육과정 모형을 발굴한다. 일반고 학생과 학부모에게 예산 660억원을 들여 고교학점제 설명회를 추진하고 모든 시도 교육청에 온라인 공동교육과정을 도입해 정규 교육과정에 편성되도록 지원한다.
교육부는 다양한 과목이 학교마다 우후죽순 열릴 때를 대비해 순회교사제와 온라인강의제도 검토하고 있다. 학생들의 다양한 과목 수요를 기존 교과목 교사로 다 채울 수 없다면 학교밖과정이나 온라인강좌도 수업으로 인정하고 그때그때 필요한 교사를 공급하겠다는 취지다.
교육부는 이 모든 현안을 논의하기 위해 차관과 세종시교육감·한국교육과정평가원장·한국교육개발원장·한국직업능력개발원장을 공동단장으로 둔 ‘고교학점제 중앙추진단’을 만들기로 했다. 추진사항을 수시로 점검하고 논의하는 기구다. 추진단은 13일 고교학점제 교원연수에 직접 참석해 현장 의견을 수렴할 예정이다.
다만 ‘절대평가제’로 불리는 성취평가제는 기존 발표대로 직업선택과목에 한정해 적용하기로 했다. 이 정책관은 “현재 2022년 대입제도까지 발표된 상태인데 그 전에 평가 방식이 바뀌면 상당한 혼란을 가져올 수 있다”며 “대입제도 여건을 고려하더라도 어차피 국어·수학 등 학생들 다수가 들어야 하는 기초과목이 있어 성취평가를 모든 과목에 적용할지는 미지수”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