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금융권에 따르면 현대해상 노조는 오는 18일 사측의 성과급 개편에 반발, 공식 기자회견을 열고 파업수위를 결정할 계획이다. 사측은 성과급 최소 지급(기본급 100%) 기준을 당기순이익 2,000억원에서 2,500억원으로 500억원 상향 조정했다. 최근 5년간 매출과 자산·당기순이익 등이 대폭 증가했지만 경영성과급 지급 기준은 2012년에 머물러 있어 과도한 성과급이 지급되고 있기 때문에 개편이 불가피하다는 게 사측의 주장이다. 실제 2012년 개편된 직후에는 성과급이 약 100~200%에 머물렀지만 꾸준히 실적이 개선된 결과 2016년과 2017년에는 성과급 지급 최대치인 700%까지 받게 됐다는 것이다. 사측이 성과급을 전면 개편한 것은 2012년 이후 6년 만이다.
IFRS17 도입에 따른 추가 자본확충 부담과 성장정체, 자동차보험 손해율 인상과 당국의 보험료 인상 규제 등 악재가 겹치면서 비상경영이 불가피하다고 보고 성과급 축소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현대해상 당기순이익은 3,735억원으로 전년 대비 20% 가까이 감소했다. 현대해상 관계자는 “자산이 20조원일 때 만들었던 성과급 지급 기준인데 40조원으로 커진 상황에서 개선이 필요하다”며 “성장정체 등 비상경영에 나서야 하는 상황에서 (성과급 지급 시스템 개선이)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노조는 사측의 성과급 개편에 대해 강력 반발하고 있다. 노조 관계자는 “18일 기자회견을 열고 파업 등 투쟁수위를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업계 2위인 현대해상도 연초부터 긴축경영에 나서면서 다른 손보사들로도 확산될 것으로 전망된다. 실제로 흥국화재나 한화손보·메리츠화재 등도 지난해 당기순이익이 절반 가량 급감하는 등 비상경영이 불가피하게 됐다.
흥국화재의 지난해 당기순이익은 452억원으로 전년(853억원)에 비해 47% 급감했고 상대적으로 우량한 한화손보는 45% 급감한 816억원에 그쳤다. 한화손보 관계자는 “자동차 보험 부문에서 손해율이 예상보다 높아졌지만 보험료 인상 등은 당국의 규제로 현실화되지 못하면서 이익 규모가 대폭 줄었다”고 설명했다. 일부에서는 ‘실적악화→고정비용 절감→영업력 약화→실적악화’의 악순환이 심화되면서 일부 업체들은 1~2년 내 인수합병(M&A) 시장 매물로 나오는 등 지각변동이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