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6.2조 투입해 해외 건설·플랜트 수주 돕는다

해외수주 활성화 위한 정부의 4대 추진 전략.해외수주 활성화 위한 정부의 4대 추진 전략.



정부가 해외 건설과 플랜트 수주 활성화를 위해 6조2,000억원 규모의 금융지원에 나선다. 대기업과 함께 해외로 진출하는 중소·중견기업 지원을 강화하고 공공기관도 해외 사업 수주에 적극 나설 수 있게끔 예비타당성 조사 절차를 간소화한다.

14일 정부는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열린 대외경제장관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의 ‘해외수주 활력 제고 방안’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투자·고용 등 내수가 부진한 상황에서 수출까지 감소세로 돌아서자 해외수주 확대를 통한 경제활력 제고에 나서기로 한 것이다.


정부는 우선 우리 기업의 해외 수주를 돕기 위해 6조2,000억원 규모의 금융 패키지를 지원하기로 했다. 수출입은행은 우리 기업이 이라크 등 초고위험국(신용등급 B+ 이하)의 인프라 사업 수주 지원을 위해 올해 상반기 1조원 규모의 특별계정을 신설한다. 무역보험공사와 함께 터키 등 고위험국(신용등급 BB+ 이하)의 인프라 사업 수주 지원을 위한 정책자금도 2조원 확대한다. 정부는 3조원 규모의 글로벌 플랜트·건설·스마트시티 펀드를 만들어 중위험 국가 인프라 사업 수주를 도울 계획이다. 올해 상반기 내로 1,000억원 규모의 한-아세안펀드와 한-유라시아 펀드도 각각 개설한다.

관련기사



아랍에미레이트(UAE), 사우디아라비아 등에 대기업과 동반 진출하는 중소·중견 기업에 대한 지원도 확대할 전망이다. 이를 위해 수은은 ‘현지법인 사업자금 대출제도’ 절차를 간소화하고 기업이 사업자금을 대출 받을 때 우대금리를 제공할 예정이다. 무보는 총사업비의 80%까지인 시설투자 지원한도를 높이고 보험료도 할인해줄 계획이다.

공공기관이 해외 투자 개발형 사업에 적극 나설 수 있는 방안도 마련했다. 정부는 공공기관 경영평가 때 해외수주 실적을 반영하고 예비타당성 조사 기준 개선도 검토하기로 결정했다. 필요한 경우 대외경제장관회의 의결을 거쳐 공공기관 해외투자 손실 발생에 대한 면책(고의·중과실 배제)도 부여한다.
/세종=정순구기자 soon9@sedaily.com

정순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