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인천공항, AI 접목한 X-Ray 보안검색시스템 도입한다

내년 하반기 도입 목표

기내반입 수하물 검색

이용객들 편의성 증대

/자료=인천국제공항공사/자료=인천국제공항공사



이르면 내년 하반기 인천국제공항에 인공지능(AI) X-Ray 보안검색시스템이 도입될 전망이다.


인천국제공항공사는 내년 하반기 시범운영을 목표로 AI에 기반한 X-Ray 영상 자동판독시스템 구축사업에 착수했다고 20일 밝혔다. 국내에서 X-Ray 영상판독에 인공지능을 접목한 대규모 시스템이 현장에 도입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공사는 AI, 사물인터넷(IoT)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항공보안 분야에 적용하는 ‘인천공항 스마트 시큐리티 시스템’ 구축을 추진해왔으며 그 첫 번째 과제로 AI X-Ray 영상 자동판독시스템 도입을 목표로 하고 있다.



AI X-Ray 영상 자동판독시스템이 도입되면 AI가 휴대품 영상이미지를 판독한 결과에 따라 판독요원이 반입금지품 적발 및 휴대품 개장 여부를 종합적으로 판단하게 된다. 이를 위해 주로 적발되는 품목 위해물품 20여종과 액체류 2만여개를 포함한 60만건 이상의 영상학습데이터를 학습하는 딥러닝 기술을 적용해 인공지능의 판독성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지난해 기준으로 공사는 6,000만개의 기내반입 수하물 검색을 통해 기내반입금지물품 300만건을 적발했다.

공사는 AI X-Ray 영상 자동판독시스템이 구축될 경우 보안검색 업무의 정확성과 용이성을 향상시켜 인천공항 이용객들에게 보다 안전하고 편리한 출국환경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정일영 인천국제공항공사 사장은 “공항운영의 핵심인 보안검색 분야에 인공지능기술을 선제적으로 도입함으로써 항공보안을 강화하고 여객들이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출국하실 수 있는 환경을 구현할 계획”이라며 “스마트공항으로 대표되는 미래 공항산업을 선점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영종도=최성욱기자 secret@sedaily.com

최성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