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AI로 높이는 우리 아이 학습지능] 대교 '써밋수학' 스마트 알고리즘 활용...부족한 부분 완벽 보완

써밋수학은 태블릿PC를 활용해 스마트 알고리즘으로 개인별 맞춤 학습을 제공한다. /사진제공=대교써밋수학은 태블릿PC를 활용해 스마트 알고리즘으로 개인별 맞춤 학습을 제공한다. /사진제공=대교



대교의 디지털 수학 프로그램 ‘써밋수학’은 인공지능(AI) 스마트 알고리즘을 활용해 1대1 맞춤 학습을 제공한다. 수학 개념을 완벽하게 이해시키는 수준을 넘어 학생에게 부족한 부분이 무엇인지 정확히 찾아내 반복적으로 학습하도록 돕는다. ‘수학을 잘하는 방법’은 배운 내용 중 이해하지 못하는 개념을 정확히 찾고 이를 보완하는 것이라는 기본 원리에 따른 것이다.

써밋수학은 정답을 맞히는 것보다 문제를 왜 틀렸는지에 집중한다. 이 같은 학습 원리를 가능하게 한 것은 AI를 활용한 스마트 알고리즘이다. 써밋수학은 태블릿PC를 활용해 스마트 알고리즘으로 개인별 맞춤 학습을 제공한다. 틀린 문제와 비슷한 유형의 문제를 문제은행에서 뽑아 단순 제시하는 기존 방식과 달리 써밋수학은 학생이 문제를 왜 틀렸는지를 실시간으로 분석해 개인별 맞춤 콘텐츠를 즉시 제공한다. 왜 틀렸는지를 정확히 파악하고 개념을 이해하게 되면 나중에 비슷한 유형의 문제에서 오답을 낼 확률이 줄어들게 된다.


이를 위한 핵심은 특허를 받은 지식유닛 기술이다. 지식유닛은 모든 수학적 지식을 가장 작은 단위로 쪼개 각각을 디지털화하는 방식이다. 이를 바탕으로 문제를 세분화하는 ‘드릴 다운(drill down)’ 방식을 적용했다. 문제를 세분화해 단계적으로 풀도록 유도함으로써 오답의 원인을 끝까지 추적해내는 방법이다. 학생에게 ‘이 문제를 틀린 것은 이것 때문’이라고 알려줘 학생이 이해하지 못하는 개념을 정확히 분석해주고 부족한 개념을 보완하는 학습 처방을 내린다.

관련기사



예를 들어 학생이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의 관계를 묻는 문제를 틀렸다면 이 문제를 풀기 위한 하위 개념인 ‘약수의 개수 구하기’와 ‘소인수분해 하기’ 등의 문제를 출제해 하위 개념을 정확히 이해하도록 돕는다. 이를 통해 학생은 자신이 어떤 수학 개념이 부족한지 정확한 원인을 파악할 수 있고 취약점을 집중적으로 학습할 수 있다.

써밋수학은 완전한 자기주도학습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도 강점이다. 학습 전 자신의 학습진도와 목표를 스스로 확인한 후 개념 강의를 통해 기본 지식을 익힌다. 이후 자신의 수준에 맞는 문제를 풀고 모르는 부분은 즉각적인 학습 처방을 받는다. 또 문제마다 유사문제 풀이 동영상을 제공해 풀기 어려운 문제라도 끝까지 스스로 해낼 수 있도록 돕는다.

학생들의 모든 학습 데이터는 학습관리시스템을 통해 저장된다. 이렇게 축적된 빅데이터는 개별 학생의 취약 지식을 정확하게 분석해 학습의 빈틈이 생기지 않도록 만든다. 눈높이 선생님은 이 같은 학습관리시스템을 통해 개인별 정답률과 오답유형·학습성실도 등 학습결과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면서 일대일 맞춤 지도를 제공한다.

진동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