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기본소득·지역화폐 전도사로 나선 경기도

4월29~30일 수원서 박람회

김용 경기도 대변인이 25일 경기도청 브리핑룸에서 ‘2019 대한민국 기본소득 박람회’와 관련해 설명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경기도김용 경기도 대변인이 25일 경기도청 브리핑룸에서 ‘2019 대한민국 기본소득 박람회’와 관련해 설명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경기도



경기도가 주도하는 기본소득과 지역화폐 정책을 전국으로 확산하고 홍보하기 위한 ‘기본소득 박람회’가 오는 4월 열린다.

김용 경기도 대변인은 25일 도청에서 브리핑을 열고 “기본소득 정책을 전국으로 확산하고 올해부터 본격 시행 예정인 지역 화폐를 홍보하기 위해 대한민국 기본소득 박람회를 오는 4월29과 30일 양일 간 수원컨벤션센터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김 대변인은 “박람회는 기본소득 의제를 전국으로 확산하는 것은 물론 국내외 기본소득 정책의 현재와 미래를 진단하고, 세계적인 이슈 및 새로운 정책을 발굴하는 소통과 교류의 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기본소득은 더 이상 포퓰리즘이라고 비난받는 정책이 아니다”라며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대규모 장기실업과 빈곤층 양산을 막고 국민이 최소한의 삶을 보장하기 위한 ‘사회적 안전망’이자 노동유인의 증대, 소득재분배, 경제 활성화를 위한 시대적 과제이자 소명”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도는 지난해 12월 전국 최초로 기본소득 정책지원 자문기구인 ‘기본소득위원회’를 출범한 데 이어 올해부터 민선 7기 대표정책인 ‘청년 기본소득(청년배당)’을 도내 전 시·군으로 확대했다. 또 농민수당 도입을 적극적으로 검토하는 등 기본소득 확대를 위한 여러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오는 4월부터 도내 모든 시·군에서 지역화폐가 유통될 수 있도록 ‘경기지역화폐’ 발행이 적극적으로 추진된다.

‘기본소득, 대동세상(大同世上)의 문을 열다’를 주제로 열리는 이번 박람회는 ‘기본소득 국제콘퍼런스’와 ‘기본소득 및 지역화폐 전시회’ 등 2개 부문으로 나눠 진행된다. 기본소득 및 지역화폐 전시회는 경기도는 물론 전국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청년·농민·문화·예술인 등을 대상으로 추진 중인 기본소득 정책과 지역화폐에 대해 더 폭넓게 이해하고 직접 체험해 볼 수 있는 전시·체험 공간으로 구성된다. 전시회에서는 국내외 기본소득 정책 소개, 지역화폐 체험 등을 할 수 있는 100여개의 전시·홍보 부스가 운영된다. 콘퍼런스 참가자들은 △경기도형 기본소득의 현재와 미래 △해외 석학들이 말하는 기본소득 △해외 기본소득 정책 사례 발표 등을 통해 다양한 의견을 나눌 예정이다.

도는 복지 예산을 경기지역 화폐로 지급하면 복지 확대 효과는 물론 재원의 역외유출이 방지돼 경기부양 등 지역경제가 선순환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수원=윤종열기자 yjyun@sedaily.com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