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교육감협 "수시-정시 통합, 수능 절대평가로" 제안

대입제도개선연구단 보고서 발표

"수능은 학업 척도로만 활용해야"

학종 공정성 방안도 요구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가 대학입시제도에서 수시·정시를 통합하고 수능체제를 변경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학생부종합전형의 경우 공정성을 높일 수 있는 방식을 찾아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밝혔다.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 산하 대입제도개선연구단은 26일 세종시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 사무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입제도 개선 방안 연구 1차 연구보고서를 발표했다.


연구단은 교육 현장의 혼란을 줄이기 위해 대입 전형을 고교 3학년 교육 과정이 모두 끝난 뒤 실시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그러면서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강화 정책이 교육 과정 정상화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학업 역량 평가 척도’로만 활용해야 한다고 밝혔다. 연구단은 이를 위해 △전 과목 절대평가 △수능 자격고사화 △논술·서술식 수능 △수능 Ⅰ·Ⅱ 등 다양한 유형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관련기사



연구단은 학종의 기록방식 개선을 통해 학종 공정성을 높여야 한다고도 제안했다. 연구단은 “미래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학생의 역량과 인성을 강조하는 입장에서는 학종이 수능에 비해 타당하다는데 동의하는 사람이 더 많다”고 학종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러면서 기계적 객관성보다 평가 정당성을 갖추는 방안, 입학사정관 신분 안정화, 선발결과 자료 공개 등을 요구했다.

김승환(전북교육감)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장은 “대입제도가 초중등 교육에 미치는 영향은 막대하다“며 ”유·초·중등 교육을 책임지고 있는 교육감들은 새로운 대안을 세워야 할 사명이 있고, 그 역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진동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