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국민 80% "친일잔재 청산 안 돼"...70%는 "일본에 호감 안 가"

문체부 '3.1 운동 100주년 국민인식 조사 결과' 발표

서울 종로에서 3·1 운동을 펼치고 있는 국민들. /사진제공=서울시서울 종로에서 3·1 운동을 펼치고 있는 국민들. /사진제공=서울시



우리 국민 10명 중 8명은 독립 의지를 만방에 알린 3·1 운동 100주년을 맞은 오늘에도 여전히 친일 잔재는 청산되지 않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5년 동안 한반도를 식민 지배한 일본에 대해서는 70%에 가까운 국민이 ‘호감이 가지 않는다’고 답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3·1 운동 및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국민 인식조사 결과’를 26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에서 3·1 운동 정신의 핵심을 묻는 질문에는 응답자의 42.9%가 ‘자주 독립’을 꼽았으며 24.3%는 ‘애국·애족’이라고 답했다. 3·1 운동 정신을 계승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친일 잔재 청산’이 29.8%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역사 교과서에 3·1 운동 내용 보완(26.2%)’ ‘3·1 운동사 발굴 지원(14.7%)’ 등의 순이었다.

관련기사



특히 친일 잔재와 관련해서는 80.1%가 ‘청산되지 않았다’고 답했으며 ‘청산됐다’고 말한 응답자는 15.5%에 불과했다. 친일 잔재가 청산되지 못한 이유에 대해서는 △정치인·고위 공무원·재벌 등에 친일파 후손들이 많아서(48.3%) △친일파 명부나 재산 환수 등이 아직 완료되지 않아서(27.8%) △우리 말·글자나 놀이·문화에 일제 치하에서 만들어진 것들이 많아서(12.0%) 등의 답변이 이어졌다. 일본에 대한 호감도를 묻는 질문에는 69.4%가 ‘호감이 가지 않는다’고 답했으며 ‘호감이 간다’는 대답은 19.0%에 그쳤다.

3·1 운동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단어나 이미지로는 조사에 참여한 응답자의 절반 가까운 43.9%가 유관순이라고 답했으며 대한독립만세(14.0%), 독립·해방·광복(9.6%)이 뒤를 이었다. 대한민국임시정부를 생각할 때 제일 먼저 떠오르는 단어나 이미지로는 31.4%가 김구를 들었으며 이어 상해(11.4%), 이승만(2.7%) 등의 순이었다.

한편 이번 여론조사는 지난 1~8일 전국 만 19세 이상 국민 1,004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 ±3.1%포인트이다.

나윤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