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포스코, 1조700억 투입 '친환경 설비' 구축

산업현장 미세먼지 줄이기 대책

포스코 포항제철소 환경센터 전경./사진제공=포스코포스코 포항제철소 환경센터 전경./사진제공=포스코



포스코가 오는 2021년까지 친환경설비 구축에 1조700억원을 투자한다고 26일 발표했다. 미세먼지가 국가적인 문제로 떠오른 가운데 산업현장에서 나오는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한 대책을 내놓은 것이다. 포스코는 이번 투자를 통해 오는 2022년까지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을 약 35%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포스코는 매년 설비투자 예산의 10%를 환경개선에 투자해왔다. 포스코의 설비투자 규모는 연 1조5,000억~2조원 수준이다. 연 평균 1,500억~2,000억원을 환경 개선에 쓴 셈이다. 이를 올해부터 늘려 3년간 연평균 3,570억원가량을 투입하겠다는 얘기다.


포스코는 특히 전체 미세먼지의 65%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진 질소산화물(NOx)과 황산화물(SOx) 배출 저감에 주력하기로 했다. 우선 발전설비 21기 중 노후한 부생가스 발전설비 6기를 2021년까지 폐쇄하고 3,500억원을 투입해 최신 기술이 적용된 발전설비를 세운다. 포스코는 현재 이를 위한 환경영향평가를 진행하고 있으며 올해 12월 착공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노후도가 덜한 나머지 부생가스 발전설비 15기와 소결로(고로에 넣기 전 철광석을 가공하는 설비) 3기에는 총 3,300억원을 투입해 질소산화물 배출을 대폭 낮출 수 있는 ‘선택적 촉매환원 설비’를 추가 설치한다. 이 설비는 연소공정에서 발생하는 질소산화물이 대기 중으로 배출되기 전에 질소와 산소 등 유해하지 않은 물질로 전환해준다. 약 65~85%의 질소산화물 저감 효과가 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미세먼지뿐 아니라 철강 생산 시 발생하는 비산먼지 저감에도 투자한다. 포스코는 현재 먼지가 흩날리는 것을 방지하는 밀폐식 구조물인 사일로(Silo)를 포함, 총 179만톤 규모의 33개 옥내저장시설을 운영 중이다. 포스코는 내년까지 3,000억원을 투자해 40만톤 규모의 사일로 8기를 더 짓는 등 옥내저장시설 10기를 추가 설치하기로 했다. 슬래그 냉각장 신설, 환경집진기 증설 등에도 900억원을 쓰기로 했다. 여과집진기 필터 구조를 개선하고 환경설비에 스마트 기술을 접목하는 등의 방안도 추진한다.
hspark@sedaily.com

박한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