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부정선거에 맞선 2·28민주운동 기념식 28일 대구서 거행

1960년 대구지역 학생들이 이승만 독재와 부정선거에 맞섰던 2·28민주운동을 기리는 기념식이 28일 오전 11시 대구 콘서트하우스에서 거행된다.

1960년 3.15 선거를 앞두고 자유당이 고교생들의 민주당 유세 참여를 막기 위해 일요일 등교령을 강행하자, 대구지역 8개 고등학교 학생들이 항의 시위에 나선 2.28 민주운동. 해방 이후 학생들이 주도한 최초의 민주화운동이며 4.19 혁명의 도화선이 됐다.1960년 3.15 선거를 앞두고 자유당이 고교생들의 민주당 유세 참여를 막기 위해 일요일 등교령을 강행하자, 대구지역 8개 고등학교 학생들이 항의 시위에 나선 2.28 민주운동. 해방 이후 학생들이 주도한 최초의 민주화운동이며 4.19 혁명의 도화선이 됐다.



대구 2.28 민주운동은 3.15 선거를 앞둔 자유당 정권이 정치에 관심이 많은 고등학생들의 민주당 유세 참여를 막기 위해 일요일 등교를 강행하자 경북고등학교 등 8개 대구지역 고교생들이 펼쳤던 민주운동이다.

대구의 8개 고교 학생 1,500여명은 독재 정치를 이어나가기 위한 일요일 등교에 항의하는 시위를 벌이며 ‘백만 학도여 피가 있거든 우리의 신성한 권리를 위해 서슴지 말고 일어서라’는 결의문을 발표하고 일부 시민들도 학생들의 시위에 참가했다.


국가보훈처는 “2·28 민주운동은 당시 대구지역 8개교 학생들이 불의와 부정에 항거해 자발적으로 일으킨 광복 이후 최초의 학생민주화 운동이자, 3·8 민주의거와 3·15의거, 4·19혁명의 기폭제가 됐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기념식은 당시 참여 학교 후배 학생과 일반시민 등 1,5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2·28대구, 민주주의의 뿌리’를 주제로 진행된다. 식전 주요인사의 2·28민주운동 기념탑 참배, 국민의례, 기념사, 기념공연, 2·28찬가 제창 등의 순으로 약 40분간 열린다.

시위에 참여했던 8개 학교 후배 학생들이 기념식의 실질적인 주체로 기념식 사회자와 결의문 낭독, 기념공연 등 곳곳에 출연해 그 의미를 더할 예정이다. 기념공연에서는 2·28민주운동 당시 작성됐지만, 안타깝게 사라져버린 결의문을 당시 작성자인 경북사대부고 출신 최용호 선생과 대구지역 후배 학생들이 현 시대적 관점으로 다시 만들어 낭독한다.

기념식 종료 후에는 8개교 학생들이 참여하는 ‘2·28민주운동 재현행사’가 출정식과 거리 재현행렬, 민주의 횃불 점화식 등의 순으로 마련된다.
/권홍우기자 hongw@sedaily.com

권홍우 논설위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