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바닥 못 벗어나는 기업 체감경기…3월 제조업 전망 깜짝 반등

한은, 2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경제심리지수(ESI)

전산업 BSI, 1월과 같은 69

3월 제조업 전망 11p↑ 76

신규 스마트폰 출시기대·무역분쟁완화·중국 부양 영향

제조업 업황 BSI제조업 업황 BSI



이달 기업 체감경기가 여전히 바닥권을 벗어나지 못했다. 다만 미·중 무역분쟁 해소 기대와 중국 경기 부양 등에 힘입어 3월 제조업 전망치는 훌쩍 뛰어올랐다.

한국은행이 27일 발표한 ‘2019년 2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에 따르면 이달 전체 산업의 업황 BSI는 69로 지난달과 같았다. 기준치 100보다 낮으면 경기를 비관하는 기업이 낙관하는 기업보다 많다는 뜻이다. 지난달 전체 산업 업황 BSI는 2016년 3월(68) 이후 최저를 기록한 데 이어 이번 달에도 회복하지 못했다.


산업별로는 제조업 업황 BSI가 69로 2포인트 오르며 소폭 개선됐다. 석유화학 플랜트 관련 기계 수주가 증가하며 기타기계·장비(71)가 8포인트 뛰었고, 조선 기자재 수요 증가에 힘입어 금속가공(52)도 4포인트 올랐다.

규모별로 대기업 업황 BSI는 74로 한 달 전보다 1포인트 올랐고, 중소기업은 64로 3포인트 상승했다. 형태별로 수출기업(75)과 내수기업(66)이 각각 4포인트, 1포인트씩 올랐다.


반면 비제조업 업황 BSI는 70으로 1포인트 하락했다. 2016년 7월(70) 이후 2년 7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운수·창고업(73) 업황 BSI가 14포인트 하락했는데, 브라질 광산 댐 붕괴 사고로 철광석 물동량이 감소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관련기사



다음 달 전체 산업 업황 전망지수는 76으로 8포인트 올랐다. 상승 폭은 2009년 9월(87) 8포인트 오른 데 이어 최대폭이다. 특히 제조업 업황 전망 BSI(76)가 11포인트 상승했다.

신규 스마트폰 출시 기대에 전자·영상·통신(79) 전망이 14포인트 올랐다. 화학물질·제품(92)에서도 21포인트 올랐다. 미중 무역분쟁 완화와 중국 경기부양책에 따른 수요 증가 기대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해 연말에 출시된 신차 효과와 자동차 개별소비세 인하 연장 등으로 자동차(72)에서도 13포인트 상승했다.

비제조업 업황 전망 BSI(75)는 5포인트 올랐다. 중국 춘제(설) 연휴 이후 산업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관련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기대돼 도·소매 전망(77)이 13포인트 올랐다. 한은 관계자는 “2월 전망이 비관적이라 기저효과가 있고 계절적인 요인도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BSI에 소비자 동향지수(CSI)를 합쳐 산출한 경제 심리지수(ESI)는 5.8포인트 상승한 95.1을 기록했다. 그러나 계절적 요인, 불규칙 변동을 제거한 ESI 순환변동치는 0.4포인트 하락해 92.2를 나타냈다. 이는 2016년 5월(91.9) 이후 최저 수준이다.


임진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