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외국인과의 접촉 많을수록 난민 대상 혐오범죄 줄어"

독일 경제연구소 ZEW 연구…옛 동독이 서독보다 난민 증오범죄 10배 이상 높아

“옛 서독은 외국인과의 접촉 경험 많아…반면 난민숫자는 중요요소 아냐”

지중해서 표류하던 난민선에서 구조된 난민들의 모습 /AP=연합뉴스지중해서 표류하던 난민선에서 구조된 난민들의 모습 /AP=연합뉴스



외국인과의 접촉이 많을수록 난민 대상 증오범죄가 줄어든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주목된다.


26일 독일 공영방송 도이체벨레는 현지 민간 경제연구소인 유럽경제연구센터(ZEW)가 2013∼2015년 사이에 나타난 1,155건의 증오범죄 관련 사건을 연구해 이 같은 결과를 내놓았다고 보도했다. 연구에 따르면 2015년에 동부 작센 주에 있는 작센 스위스 지역은 인구 10만 명당 9.76건의 범죄가 발생해 독일에서 증오범죄 발생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이었다. 이어 브란덴부르크 주의 우커마르크, 작센안할트 주의 잘레크라이스 지역이 증오범죄 발생 비율이 높았다. 이들 지역은 모두 옛 동독지역이다. 증오범죄가 발생하지 않은 옛 동독지역의 행정구역은 4곳에 불과했다. 반면 옛 서독지역인 118곳의 행정구역에서는 증오범죄가 한 건도 보고된 바가 없어 대조를 이뤘다.

관련기사



이에 대해 연구팀은 혐오범죄의 중요한 요소가 거주자들이 이민자를 겪은 경험의 정도라고 분석했다. 옛 서독지역 시민들의 경우 1960년대 터키 이민자 등 외국인과의 접촉 경험이 많기 때문에 증오범죄가 적었다는 것이다. 반면 난민의 숫자는 증오범죄의 수준을 결정하는 요소가 아니라고 밝혔다. 옛 동독지역에 거주하는 난민 숫자는 옛 서독지역보다 훨씬 적다. 특히 연구팀은 외국인을 향한 증오범죄에 경제적인 동기가 거의 작용하지 않는다는 분석을 내놔 눈길을 끌었다. 연구에서 설정한 난민 대상 증오범죄는 혐오발언과 공격적인 낙서, 물리적 폭행, 방화 등이다.

따라서 연구팀은 옛 동독지역에서 증오범죄를 줄이기 위해선 현지인들이 난민이 처한 어려움을 인식하고 이에 대해 연민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박원희 인턴기자 whatamove@sedaily.com

박원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