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中企 디지털화 통해 혁신성장 일궈야"

중기연 "표준화된 SW환경 제공을"

중소기업의 디지털화를 중소기업 혁신성장을 위한 국가 차원의 과제로 인식하고, 각 분야의 디지털화를 지수로 만들어 정책지표로 관리해야 한다는 조언이 나왔다.

3일 중소기업연구원이 내놓은 ‘디지털 혁신을 통한 중소기업 재도약’ 보고서에 따르면 디지털화는 센서와 사물인터넷(IoT)을 결합한 ‘스마트공장’을 넘어 경영 전반에서 일하는 방식을 혁신하고, 경제·산업 발전을 선도하는 역량을 갖추는 것으로, 제조업 강국으로 일컫는 독일은 2000년대 중반부터 체계적으로 디지털화를 추진해왔다.


‘디지털 어젠다 2014∼2017’, ‘디지털 전략 2025’ 등의 정책을 통해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할 수 있는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주도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특히 지수화·조직화·표준화 측면에서 발전된 형태를 보이는 게 특징이다.

관련기사



독일은 국가 차원에서 중소기업의 디지털화 달성 수준을 평가하고 관리하며, ‘플랫폼 인더스트리 4.0’과 같이 다양한 이해 관계자가 참여해 산업 변화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 발전 방향을 설계한다. 또 산업 각 분야의 디지털화 확산을 돕기 위해 데이터 인터페이스의 표준을 사용하고 있다.

박재성 연구위원은 “국내 중소기업의 빅데이터나 전자상거래, 고객관계관리(CRM) 이용 수준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중 최하위 수준”이라며 “혁신 역량의 부족으로 대·중소기업 간 생산성 격차도 매우 크다”고 지적했다. 이어 “독일의 사례를 참고해 지역별 혁신역량센터를 조직해 디지털화를 확산하고, 중소기업이 쉽게 디지털화에 나설 수 있도록 표준화된 하드웨어·소프트웨어 환경을 제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심우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