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대(對)이란 제재 부활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이란이 국영 세바은행을 중심으로 6개 은행 통폐합에 나선다.
3일(현지시간) 로이터와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이란 중앙은행은 전날 홈페이지를 통해 “이란 국영 세바은행이 안사르·가바민·헤크마트·메흐에크테사드·코사르 등 5개 은행과 합병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란 중앙은행은 이번 합병에 대해 “금융 시스템 안정화와 건전성 유지를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이란 중앙은행은 미국의 제재로 경제 전반이 흔들리자 산업 건전성과 투명성을 높이고 부실대출을 해소하기 위해 다수 은행들에 합병을 요구하고 있다. 지난해 5월 미국이 이란 핵 합의(JCPOA)에서 탈퇴하고 8월과 11월 두 차례에 걸쳐 대이란 제재를 복원하면서 이란 리알화 가치는 올해 들어서만 10% 가까이 급락했으며 화폐가치 하락으로 지난해 물가상승률은 40%에 이르렀다.
■은행 합병 숨은 이유는
산업 전반 장악한 군부에
로하니 대통령 ‘견제구’ 던져
중앙은행이 설명한 표면적 이유와 달리 이번 합병 결정에는 금융뿐 아니라 에너지·통신 등 이란 경제·산업 전반을 쥐락펴락하는 이란 군부의 입김을 억제하려는 하산 로하니 대통령의 계산이 작용했다는 분석이 많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이란 내 대표적 강경파 군부세력인 이란혁명수비대는 온건개혁파인 로하니 정부에 사사건건 태클을 걸고 있다. 이란 정부가 테러자금 차단 등 금융 투명성 제고를 위해 추진하는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ATF) 가입이 진척을 보지 못하는 것도 강경 보수파와 군부의 반발 때문으로 알려졌다. 프랑스·독일·영국 등은 미국의 제재를 피해 유럽 기업들이 합법적으로 이란과 거래하도록 하는 특수목적법인 ‘인스텍스’를 발족하면서 가동 조건으로 이란의 FATF 가입을 내걸었으나 이란 강경파는 인스텍스가 JCPOA와 유사한 굴욕이라며 이를 저지하고 있는 것이다.
블룸버그는 “이번 은행 합병은 정부 정책에 제동을 거는 혁명수비대의 영향력을 축소하기 위한 로하니 대통령의 노력”이라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