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WSJ “미중 무역협상 타결시 한국 등 동맹국 수출에 타격”

/AFP연합뉴스/AFP연합뉴스



미국과 중국의 무역협상이 최종 타결될 경우 한국 등 미국의 동맹국들의 수출에 타격이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4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영국 투자은행(IB) 바클레이즈가 중국이 향후 5년간(2019~2024년)에 걸쳐 총 1조3,500억 달러(약 1,465조1,000억원) 규모의 미국산 제품을 구매할 경우, 일본은 이 기간에 매년 총 수출액의 3%에 해당하는 280억 달러의 손실을 볼 것으로 전망했다고 보도했다.

이 기간 한국도 매년 수출액의 3.1% 수준인 230억 달러(약 25조9,210억원) 손실을 입을 것으로 내다봤고,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은 매년 260억 달러, 대만은 200억 달러, 호주는 30억 달러의 수출손실을 볼 것으로 각각 분석했다.


미중 무역협상이 타결되면 무역 전쟁의 영향은 가라앉겠지만 중국이 미국의 압박에 미국산 제품을 대거 구매하면서 중국 시장에 의존해온 미국의 동맹국들이 수출에 타격이 올 수 있다는 것이다.

관련기사



WSJ은 중국이 5년간 1조3,500억 달러의 미국산 제품을 추가 구매할 것으로 설정한 것과 관련, 스티븐 므누신 미 재무장관이 지난해 12월 언급한 1조2,000억 달러에 근접한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일본의 경우 기존에 중국에 판매하던 자동차 가운데 일부를 미국으로 판매할 수도 있다면서도 동맹국들이 그 같은 대규모 수출을 다른 곳으로 전환하기는 단기간에는 불가능할 것이라고 WSJ 내다봤다.

또 합의안의 하나로 중국 국영 석유기업 시노펙이 미 액화천연가스(LNG) 업체 셰니에르 에너지(Cheniere Energy)로부터 180억 달러 규모의 LNG를 수입하는 방안과 관련해서도 LNG에 대규모 투자를 한 호주와 캐나다가 타격을 입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

WSJ는 “미중 무역합의가 아시아에서 중국의 부상과 관련해 균형을 잡는데 미국이 의지하고 있는 동맹국들의 경제를 심각히 훼손할 것이라는 점이 위험 요소”라고 지적했다.


노현섭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