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국내 은행 CDS 프리미엄 금융위기 이후 최저

국내 은행권의 신용부도스와프(CDS·Credit Default Swap) 프리미엄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저치로 떨어졌다. 북미 대화 협상 결렬에도 여전히 남북관계가 흔들리지 않는다는 평가를 받은 영향이 크다.


6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이달 초 현재 KB국민·신한·KEB하나·우리은행 등 국내 4대 은행의 CDS 프리미엄 평균은 43bp로 2017년 말 대비 31bp 하락했다. 이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저치다. 미국, 유럽, 일본 은행권 CDS 평균이 같은 기간 각각 17bp, 30bp, 6bp 오른 것과는 대조적이다.

관련기사



국금센터는 “한국의 국가 CDS 프리미엄은 경상수지 흑자와 풍부한 외환보유액, 지정학적 리스크 축소 등이 반영됐다”며 “국내 은행들이 지난해 양호한 실적을 거둔 데다 자산건전성과 유동성 비율이 개선하면서 자체적으로도 대외 신용도가 높아진 것으로 평가된다”고 밝혔다.

국금센터는 “국내 은행권의 CDS 프리미엄 개선을 단순히 해외 평가 제고로 보는 데 그치지 않고 향후 은행들의 자산전략 변화의 기회로 삼을 필요가 있다”며 “양호한 외화조달 여건을 활용해 외화금융중개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신흥국을 중심으로 해외거점 확충, 현지 은행 인수 등 외화 영업기반을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형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