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사례는 지난 2007년 독일 베를린에서 급성 백혈병 치료를 위해 조혈모세포 이식을 받은 미국인 남성 티머시 레이 브라운. 그는 이식 전 자신의 조혈모세포를 죽이기 위해 항암화학요법과 전신방사선 치료를 받았다. 현재 백혈병·에이즈 징후는 없고 에이즈 치료제(항레트로바이러스 약물)도 복용하지 않는다.
두 번째 사례는 2012년 호지킨림프종에 걸린 에이즈 환자인 영국인 남성. 2016년 에이즈를 일으키는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에 저항성을 가진 사람의 조혈모세포를 이식받았다. 브라운과 달리 전신방사선 치료 없이 표적항암제와 항암화학요법만 받았다.
HIV는 면역기능을 하는 백혈구 표면의 수용체(CCR5)와 결합해 백혈구를 공격한다. 하지만 유럽계 백인 100명 중 1명은 CCR5 유전자의 2개 부위가 돌연변이로 결실(CCR5Δ32/Δ32)돼 HIV에 감염되지 않는다. 이런 돌연변이를 가진 기증자의 조혈모세포를 이식받은 환자는 혈액에서 HIV가 검출되지 않아 16개월 후 에이즈 약 복용을 중단했다. 이후 18개월이 넘도록 그 상태가 유지되고 있다.
지난 5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관련 논문을 발표한 라빈드라 굽타 영국 UCL대학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아직 에이즈가 완치됐다고 말할 단계는 아니다”라면서도 “언젠가 에이즈를 완치할 수 있으리라는 과학자들의 생각이 입증된 셈”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영국인 환자는 (전신방사선 치료를 받았던) 브라운보다 덜 공격적인 치료를 받았다”며 “심각한 부작용이 있을 수 있는 공격적 치료가 줄기세포 이식 성공에 필수적이지는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런 종류의 치료법은 암을 동반하지 않아 골수이식을 받을 필요가 없는 대부분의 에이즈 환자에게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브라운을 치료했고 지금은 줄기세포 회사 셀렉스(독일 드레스덴)의 의료책임자인 게로 휘터 박사는 “CCR5를 표적으로 한 (CCR5 발현을 억제하는) 유전자치료법 등을 개발하면 훨씬 광범위한 에이즈 환자를 치료할 수 있을 것”이라며 “진정한 돌파구는 아직 열려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