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노딜' 브렉시트 준비하는 영국

브렉시트 합의안 의회 부결 대비

수입품에 최대 90% 무관세 추진

BOE, 시중은행에 유로화 공급도

테리사 메이 영국 총리 /로이터연합뉴스테리사 메이 영국 총리 /로이터연합뉴스



영국 정부가 아무런 합의 없이 유럽연합(EU)을 떠나는 ‘노딜 브렉시트’에 대비해 수입품에 부과하는 관세를 최대 90%까지 폐지하는 방안을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영국 중앙은행(BOE)도 노딜 브렉시트 이후 유동성 확보를 위해 시중은행에 매주 유로화를 공급하기로 하는 등 최악의 사태를 맞을 채비를 본격화하고 있다.

영국 스카이뉴스는 5일(현지시간)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영국이 EU와 통상합의를 체결하지 못한 채 탈퇴를 단행할 경우 영국으로 수입되는 상품에 부과되는 모든 관세의 80~90%를 인하하는, 사실상의 무관세 정책을 펼 계획이라고 전했다. 테리사 메이 총리는 다음주 브렉시트 합의안에 대한 의회 투표가 부결될 경우 해당 내용의 세부계획을 발표할 것이라고 매체는 덧붙였다.

이 같은 정책을 실행에 옮길 경우 영국의 일부 제조업자와 농가의 경쟁력이 약화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에 따라 정부는 완성차와 소고기·양고기·유제품 등 전체의 10~20%를 차지하는 민감한 물품들을 무관세 품목에서 제외해 보호 대상으로 남길 것이라고 스카이뉴스는 설명했다. 다만 이 경우에도 자동차부품과 곡물을 포함한 일부 농산물 등 대부분의 관세는 완전히 철폐될 것으로 전망된다.


BBC방송은 “대다수 수입품의 관세를 삭감하는 것은 세계적으로 봐도 대담한 조치”라며 “영국이 EU를 떠나도 자유롭고 개방적인 경제지대라는 메시지를 보내기 위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금융시장에서도 노딜 브렉시트 채비가 시작됐다. BOE는 이날 성명에서 노딜 브렉시트 이후 은행들이 현금경색에 처하는 상황을 피하기 위해 유럽중앙은행(ECB)과 긴급 통화 스와프에 합의했다고 밝혔다. BOE가 ECB에 파운드화를 주고 유로를 받아 자국 은행에 매주 유로를 공급하는 방식이다. 마크 카니 BOE 총재는 “EU의 경제적 파급 효과는 여전히 상당하다”며 급작스러운 탈퇴로 시장에 큰 충격을 줄 수 있어 이 같은 조치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메이 총리는 노딜 브렉시트를 피하기 위해 EU와 적극적인 협상을 벌이고 있지만 5일 진행된 EU와 영국 측의 브렉시트 수석대표 회동에서도 여전히 돌파구를 마련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민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