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울산·경남 등 동남권 경제는 주력 산업인 조선업과 자동차 등의 침체와 제조업의 동반 악화로 내리막길을 걸었으나 최근 조선업 경기가 살아나면서 반등세를 보이고 있다. 제조업도 완만한 회복세를 보이면서 다시 활기를 찾는 모습이다. 이에 동남권 각 지방자치단체는 일부 업종이 활기를 보이고 있지만 여전히 지역 경제 전반에서 온기를 느끼기에는 미흡한 수준이라고 보고 예산지원 등을 통해 동남권 경기 회복세가 본격화될 수 있도록 경제살리기에 행정력을 집중할 방침이다.
부산은 굵직한 사업 관철에 집중하는 동시에 풀뿌리 경제를 살리는데 온 힘을 쏟을 계획이다. 울산은 ‘세계 최고의 수소 도시로 도약하겠다’는 비전과 함께 구체적인 방안을 내놓았다. 경남은 남부내륙고속철도와 연계한 거점별 개발계획 등 신성장 경제권을 구축하려는 장기적인 계획을 추진할 예정이다.
부산시는 올해 북항통합개발사업 등 동·서부산 균형발전에 도움이 될 부산대 개조 프로젝트를 차질없이 추진하고 동남권 관문공항 건설, 2030부산월드엑스포 유치 등을 관철하는 데 전력을 다하고 있다. 이 같은 메가 프로젝트들이 부산의 미래를 결정지을 핵심 사업으로 보고 사활을 건 것이다. 부산시는 또 서민 살림살이가 나아지도록 민생과 경제에도 집중할 방침이다. 특히 소상공인과 자영업자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을 쏟아붓고 있다. 풀뿌리 서민경제가 강해져야 지역 경제 전체가 튼튼해진다는 판단에서다. 또 지역 경제 활력과 일자리 창출의 중심 역할을 ‘민간’이 주도적으로 할 수 있도록 부산시는 가진 모든 역량을 지원하는 데 집중하고 문현(금융)·센텀(IT)지구 등 지역 혁신 클러스터 조성에 박차를 가해 경제 체질도 혁신한다는 계획이다. 오거돈 부산시장은 “근심걱정 없이 먹고 사는 문제보다 더 절박하고 중요한 일은 없다”며 “민선 7기의 사실상 첫 시작인 올해를 기점으로 시민 기대에 부응하는 성과를 반드시 창출하겠다”고 강조했다.
울산시는 일자리 창출을 최우선 과제로 두고 수소산업과 부유식 해상풍력 발단단지 조성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단기적인 일자리 지원보다 국가 경제정책에 발맞춘 대규모 사업을 발굴해야 일자리 정책이 지속한다는 판단에서다. 수소산업의 경우 울산시가 주력산업 적극 지원할 방침이다. 또 기업 성장을 통해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도록 자율주행차와 전기차, 수소차 등 미래형 자동차부품산업 생태계를 활성화하고 있다. 단기적으로는 계층별 수요 맞춤형 일자리 지원에 중점을 두고 있다. 울산시는 이를 위해 4월 노사정 상생 모델인 경제사회노동 화백회의를 구성하고, 지역의 모든 일자리 업무를 총괄할 일자리재단을 설립해 정책 추진을 이끌어 나갈 계획이다.
경남도는 정부가 예비타당성조사를 면제한 남부내륙고속철도가 서부경남뿐만 아니라 진주와 창원, 창원과 수도권을 연결해 경남 전체가 발전하는 동력이 될 것이라고 보고 남부내륙고속철도와 연계한 경남발전 그랜드 비전 수립에도 만전을 기하고 있다. 박성호 경남도지사 권한대행은 “남부내륙고속철도와 연계한 관광·레저·힐링 산업 등을 포함하는 경남 전체의 발전계획을 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비전 수립의 중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 창업생태계 조성과 좋은 일자리 창출에도 사활을 걸었다. 일자리를 위해 2022년까지 쏟아붓는 예산만 10조 원에 달할 정도다. 이를 통해 상용일자리를 포함한 29만2,000여개의 일자리를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또 아이디어를 가지고 시제품까지 제작할 수 있는 공간을 구축하고 창업투자회사를 설립하는 등 경남형 창업 생태계 조성에 적극 나설 예정이다. 한발 더 나아가 스마트 공장·산단을 중심으로 추진한 제조업 혁신 1단계에 이어 2단계인 창업 활성화를 통해 경남지역 경제가 반드시 재도약하도록 만들겠다는 전략이다. /부산·울산·경남=조원진·장지승·황상욱기자 jjs@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