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휴대전화 데이터 사용량 월 40만TB 사상 처음 돌파

무제한 요금제 보편화된 탓

LTE 트래픽 7년간 142배로 늘며 전체의 99.8% 차지…가입자당 8.1GB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제공한 4G 스마트폰 트래픽 추이다./연합뉴스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제공한 4G 스마트폰 트래픽 추이다./연합뉴스



4세대(4G) 이동통신 롱텀에볼루션(LTE) 스마트폰이 대중화되면서 월간 휴대전화 무선데이터 트래픽이 40만TB(테라바이트)를 넘어섰다.

특히 LTE 가입자당 트래픽은 8,289MB로 8.1GB에 달했다. 데이터무제한 요금제 이용의 보편화가 LTE 트래픽 급증 배경으로 꼽힌다.


7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올해 1월 이동전화 무선데이터 트래픽은 40만3,812TB로 전월보다 1.5% 증가했다. 휴대전화 데이터 트래픽이 40만TB를 넘어선 것은 처음이다. 이는 지난해 동기 31만3,716TB보다 28.7% 늘어난 수치다. 2012년 1월 2만3,566TB에 비해서는 7년 사이 17.1배 증가했다.

전체 휴대전화 데이터 트래픽 중 LTE 스마트폰 트래픽의 비중이 99.8%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LTE 데이터무제한 요금제 가입자와 일반요금제 가입자의 트래픽은 2015년 3월 각각 6만2,09TB와 5만9,998TB로 비슷한 수준이었지만 지난해 12월에는 32만9,311TB와 6만5,454TB로 격차가 5배로 확대되는 경향을 보였다.

관련기사



데이터 ‘헤비유저’인 LTE 서비스 상위 10% 이용자가 전체 이용자의 무선 트래픽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작년 12월 56%에 달했다.

5세대 이동통신 스마트폰이 보급될 예정이지만 정착되는 데까지는 1~2년이 걸리는 점을 고려하면 LTE 무선트래픽 증가세는 한동안 지속할 것으로 전망된다.

일각에서는 속도 등 서비스 품질이 낮아지는 것을 우려한다. LTE 데이터 이용량이 계속 증가할수록 주파수 대역폭이 부족해진다는 것이다.

이동통신업계 관계자는 “LTE폰 출시 때도 1년 정도 지나야 사용 가능 지역이 늘었기 때문에 5G폰이 출시되더라도 단기간에 LTE 트래픽이 큰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라며 “5G 요금제도 해비유저와 ‘얼리어답터’ 위주로 가입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최정윤 인턴기자 kitty4199@sedaily.com

최정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