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부처 업무보고] 2022년까지 스마트공장 3만개 보급

■중기부

예산 2.6배 늘려 3,428억 편성

'스마트 마이스터' 사업도 시작

홍종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7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2019년 중소벤처기업부 업무계획’을 설명하고 있다./사진제공=중소벤처기업부홍종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7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2019년 중소벤처기업부 업무계획’을 설명하고 있다./사진제공=중소벤처기업부



중소벤처기업부가 2022년까지 스마트공장을 3만 개를 보급해 중소기업의 제조혁신을 도모한다. 스마트공장 보급 사업이 중소기업의 ‘제조혁신’을 도모한 것은 물론이고 대·중소기업 간 상생 플랫폼을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됐다는 판단에서다.

중기부는 8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2019년 중소벤처기업부 업무계획’을 발표하고 이같이 밝혔다. 중기부는 지난 2018년까지 총 7,903개의 스마트공장을 중소기업에 보급했는데 도입 기업의 생산성이 30% 올라가고 불량률은 43.5%로 떨어졌으며 기업 당 2.2명의 고용을 늘리는 성과를 창출했다고 강조했다.


특히 중기부는 스마트공장 보급 사업이 대·중소기업 간 ‘윈-윈’을 도모하는 마중물이 됐다는 점에 주목했다. 홍종학 중기부 장관은 “삼성전자와 현대자동차를 비롯해 LG전자·삼성SDI·포스코 등이 중기부와 스마트공장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고 말했다. 실제로 중기부는 삼성전자와 5년간 각각 매년 100억 원씩 투자해 총 2,500개의 중소기업에 스마트공장을 확대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이를 위해 중기부는 올해 스마트공장 관련 예산에 전년 대비 2.6배 늘어난 3,428억원을 편성했다. 또한 대기업과 이노비즈협회와 협업해 민간 주도 스마트공장 보급 플랫폼을 지원할 예정이다. 아울러 이번 달부터 대기업 부장급 또는 현장 기능장에 상응하는 경력을 가진 퇴직 인력을 스마트공장 구축 사업에 투입하는 ‘스마트 마이스터’ 사업도 시작한다.

다만 스마트공장 보급 사업이 기본적으로 ‘현금보조’ 형태를 띠고 있다는 데엔 아쉬움의 목소리도 나온다. 현재 중기부는 보급 사업에 참여하는 중소기업에 1억~1억5,000만원을 지급하고 있다. 자동화기기 업체의 한 대표는 “포장라인 하나만 자동화하려고 해도 최소 10억~20억 원은 들어간다”며 “한 기업당 소액을 지원하는 것보단 자체 플랫폼을 지원하는 데에 더 힘을 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심우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