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美, 동창리 파장 확산 경계..."협상 계속" 메시지와 압박 병행

美, 동창리 파장 확산 경계…"협상 계속" 메시지 속 압박 병행(종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연합뉴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연합뉴스



하노이 회담 결렬 이후 북한의 동창리 미사일 발사장 복구 움직임에 대한 파문이 일파만파 커지면서 미국이 공식입장을 발표했다.


7일(현지시간) 미 북한전문매체 38노스는 상업 위성사진을 토대로 동창리 미사일 발사장이 정상가동 상태로 복귀한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미국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도 38노스와 같은 분석을 내놓았다. 북한이 미국 본토에 직접적으로 위협을 가하는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카드로 내놓아 대미 압박에 나선 것일 수 있어 파장은 확산될 전망이다.

관련기사



이에 대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전날 “만일 움직임이 사실이라면 매우 매우 실망할 것”이라는 신중론을 내비친 데 이어 “조금 실망했다”며 한 발 더 나간 반응을 보였다. 전문가들은 “후속 협상 재개를 위한 문을 계속 열어두는 가운데 판을 깨지 않는 범위에서 북한에 경고 메시지를 보냈다”고 평가했다. 이날 오후 갑자기 잡힌 미 국무부 고위당국자의 브리핑에서도 입장은 유지됐다. 미 고위당국자는 “동창리 발사장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약속대로 검증 과정을 거쳐 폐기될 대상임은 분명하다”며 “북한 핵 인프라의 핵심적 부분은 아니다”라고 재차 강조했다. ‘빅딜’ 수용을 압박하면서도 협상을 이어가려는 트럼프 행정부의 방침은 유지되는 셈이다.

미 고위당국자는 38노스나 CSIS의 관측에 대해서도 “면밀히 들여다보고 있으나 (당국도) 같은 결론을 내린 것은 아니다”라며 상황관리에 나섰다. 미국이 최대압박과 협상 재개를 병행하는 가운데 동창리가 변수로 적용하는 것을 원치 않는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또 이번 논란이 확산된다면 ICBM 실험 중단으로 미국 본토에 대한 북핵 위협을 상당히 감소시켰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주장이 약화할 수 있다는 우려도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신현주 인턴기자 apple2609@sedaily.com

신현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