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베네수엘라 국회, 대정전 닷새만에 국가비상사태 선포

과이도 "쿠바에 원유 수출 차단"

11일(현지시간) 베네수엘라 수도 카라카스에서 주민들이 식수를 구하기 위해 모여있다. /카라카스=AFP연합뉴스11일(현지시간) 베네수엘라 수도 카라카스에서 주민들이 식수를 구하기 위해 모여있다. /카라카스=AFP연합뉴스



닷새째 이어진 대규모 정전으로 피해가 속출하자 베네수엘라 국회가 11일(현시간) 국가비상사태를 선포했다.

임시 대통령을 자처하는 후안 과이도 국회의장은 이날 국회 긴급회의를 소집해 “베네수엘라에 정상적인 것이 하나도 없다. 국가비상사태 선포가 필요하다”고 촉구했고 국회는 과이도 의장의 요청을 받아들였다.


베네수엘라 헌법상 대통령이 재난 상황 시 국가비상사태를 선포할 수 있다. 헌법이 국회의 비상사태 선포 권한에 대해서 명시하지 않고 있어 이번 조치가 효력이 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관련기사



국회 차원에서 비상사태를 선포한 것은 지난 7일부터 이어진 정전으로 피해가 일파만파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과이도 의장에 따르면 전국 23개주 가운데 16개주에 전력 공급이 전혀 되지 않고 있으며, 6개주는 부분 정전 사태를 겪고 있다. 이날 비상사태선포를 위해 소집된 국회에서도 회의 시작 1시간 만에 전기가 끊겼다. 니콜라스 마두로 대통령이 국제 원조를 ‘외세 침투’로 규탄하며 국경 인근에 대기 중인 원조물자 250톤을 거부한 탓에 국민 수백만명이 식량난에 허덕이고 수십명의 사망자까지 발생했다.

이날 과이도 의장은 베네수엘라가 경제 위기를 겪으면서도 우방국인 쿠바에 원유를 20년간 싼값에 팔아넘기고 있다며 국제사회에 이를 저지해줄 것을 요청했다. 과이도 의장은 마두로 대통령의 정치적 동반자인 쿠바로 원유 수출 금지를 요청한다면서 “국제사회가 이 조치에 동참해 국가비상사태 해결을 위해 긴급 투입돼야 할 원유가 반출되지 않도록 도와달라”고 호소했다. 이에 존 볼턴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트위터를 통해 “베네수엘라 국회가 원유의 쿠바 수출 중단을 명령했다. 원유의 쿠바 반출을 돕는 보험사와 항공사들은 이 사실을 통보받았다”고 응답했다.

마두로 대통령이 대규모 정전의 원인이 미국의 전자기 공격 때문이라며 미국을 비난하자 미국은 베네수엘라 주재 외교관을 전원 철수시키는 강수를 뒀다. 지난 1월 베네수엘라에 있던 외교관 대부분에 귀국 명령을 내린 데 이어 남은 인력까지 모두 철수하라는 것이다. 미국 재무부도 이날 베네수엘라 국영석유회사 PDVSA와 거래한 러시아 소재 은행 에브로파이낸스 모스나르뱅크에 제재를 가하며 압박 수위를 높였다.


김창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