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김정은-아베 만나나…日 유엔 北인권결의안 초안 작업서 돌연 빠져

관례 깨고 EU에 작업 맡겨…북일 정상회담 물밑 작업 관측

최근 일본의 TV에 지난달 베트남 하노이에서 개최된 북미정상회담 소식이 보도되고 있다. /AP연합뉴스최근 일본의 TV에 지난달 베트남 하노이에서 개최된 북미정상회담 소식이 보도되고 있다. /AP연합뉴스



유럽연합(EU)와 교대로 십여년간 유엔(UN) 인권이사회에서 북한 인권결의안 작성을 주도했던 일본이 돌연 초안 작성 및 상정에서 빠지기로 했다. 관례를 깬 상황에서도 일본은 명확한 이유를 밝히지 않아 일본이 북일 정상회담 개최를 위한 물밑작업에 들어갔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12일(현지시간) 외신에 따르면 유럽연합(EU) 대표부가 북한인권결의안 초안 작성을 위해 유엔 제네바사무국에서 개최한 비공개회의에서 일본 측은 결의안 초안 작성에서 빠지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회의에 참석했던 비정부기구(NGO)와 인권이사회 관계자들은 일본이 명확한 이유를 밝히지 않은 채 EU에 결의안 초안 작성을 대신해달라고 요청했다고 전했다.


유엔에서 북한의 일본인 납치 문제 해결을 촉구해왔던 일본은 첫해부터 EU와 교대로 공동작업을 통해 결의안 초안, 상정을 주도해왔다. 특히 올해는 일본이 결의안 초안 작성을 주도할 차례였지만 EU에 이를 넘긴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 인권결의안은 2003년 유엔인권이사회의 전신인 인권위원회에서 처음 채택된 뒤 지난해까지 인권이사회에서 16년 연속 채택됐다.

관련기사



피랍 일본인 문제를 부각하던 일본이 북한인권결의안 초안 작성에서 빠진 것을 두고 국제사회에서 다양한 해석이 나오고 있다. 이 중 일본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아베 신조 총리와의 정상회담을 추진하기 위해 북한 달래기에 나섰다는 해석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아베 총리는 지난달 28일 북미 정상회담 결과를 놓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통화한 뒤 기자회견에서 “다음에는 나 자신이 김 위원장과 마주 봐야 한다”며 북일 정상회담 추진 의지를 거듭 밝힌 바 있다. 또 같은 달 12일에는 국회 중의원 예산위원회에서 “불행한 과거를 청산하고 (북한과) 국교 정상화를 목표로 한다는 생각에는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


연유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