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빅데이터로 '스마트'해지는 서울... 2022년까지 1조4,000억원 투입

미세먼지 감지 IoT센서부터 범죄 현장 잡아내는 CCTV까지

스마트 시티가 구현되는 로드맵이다./연합뉴스스마트 시티가 구현되는 로드맵이다./연합뉴스




각 분야에 따른 서울시 ‘스마트 시티’ 추진계획이다./연합뉴스각 분야에 따른 서울시 ‘스마트 시티’ 추진계획이다./연합뉴스


골목 구석에서 서로 치고받는 폭행 사건이 발생할 경우 CCTV(폐쇄회로)가 사건을 인지, 자동으로 경찰이나 소방서에 신고를 한다. 주민들은 스마트폰으로 공영 주차장 빈자리를 찾아 주차를 하고 공무원들은 미세먼지와 교통 정보 등을 수집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행정 업무를 처리한다. 마치 공상과학영화의 한 장면 같은 풍경들은 서울시가 2022년까지 완성하겠다고 자신하는 ‘빅데이터 수도’의 모습이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13일 시청에서 열린 ‘스마트시티 좌담회’에서 이런 내용의 ‘스마트시티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스마트시티 추진계획은 2022년까지 총 1조4,000억 원을 투자해 서울을 ‘빅데이터 수도’로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서울시는 우선 2022년까지 시 전역에 5만 개의 사물인터넷(IoT) 센서를 설치해 미세먼지, 야간 빛 세기, 유동인구, 차량 이동 등의 데이터를 수집할 계획이다. 수집한 각종 데이터는 연내 구축할 ‘공공 빅데이터 통합 저장소’를 통해 맞춤형 스마트 행정에 활용한다. 예컨대 조도 센서로 확보한 야간 빛 데이터를 분석해 밤길 안전 대책을 만들 수 있다.

관련기사



교통 분야에서는 스마트폰으로 실시간 주차 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IoT 공유주차 시스템’을 공영주차장 500석에서 시작해 2022년까지 총 3,000석으로 확대한다.

CCTV도 한층 ‘스마트’해진다. 서울시는 싸움, 방화 등을 자동으로 인식해 경찰이나 소방서 등에 실시간으로 알리는 ‘지능형 CCTV’ 총 1만 7,820대를 2021년까지 도입한다. 연내에는 자치구별 CCTV 영상 정보를 경찰, 소방 등과 공유하는 ‘스마트서울 안전센터’를 설치할 예정이다.

박 시장은 “행정, 교통, 안전, 환경, 복지, 경제를 중심으로 한 ‘스마트시티 추진계획’을 통해 세계 전자정부 1위를 넘어 빅데이터 기반 스마트시티로 도약하겠다”고 강조했다.
/최정윤 인턴기자 kitty4199@sedaily.com

최정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