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오는 2022년까지 항만 미세먼지 ‘절반’으로 줄인다

/연합뉴스/연합뉴스



해양수산부와 환경부가 합동해 오는 2022년까지 항만 지역 미세먼지 ‘절반’ 감축에 나선다.


19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두 부처는 이를 위해 업무협약을 맺었다. 두 부처는 앞으로 ▲선박 연료의 황 함유량 규제 ▲항만 하역 장비에 대한 친환경 기반시설 확충 ▲항만 미세먼지 감시체계 구축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 시 항만 지역 비상 저감 조치 시행 등을 추진한다. 그동안 각 정부부처별로 항만 미세먼지 배출 저감안을 실행했지만 항만시설에 대한 전반적인 미세먼지 배출 현황 파악이 미흡해 통합 관리가 이뤄지지 못했다.

관련기사



해수부와 환경부는 종합적이고 효율적인 대책을 내세워 2022년까지 미세먼지를 획기적으로 줄일 방침이다. 우선 해수부는 배출규제해역과 저속운항해역을 지정해 황산화물과 미세먼지 발생을 줄인다. 이를 위해 항만 내 미세먼지를 줄이는 육상전원공급설비를 신규 설치하고 항만 하역 장비인 ‘야드 트랙터’의 연료도 경유에서 LNG로 전환한다. 또 환경부는 내년까지 이동측정망 등을 활용해 항만지역 대기 질을 측정하고 친환경 선박 건조·항만 기반시설 구축에 따른 대기 질 개선 효과를 분석한다. 항만 출입이 잦은 노후 경유차에 대해서는 저공해 조치를 우선 지원하며 대기오염물질 상시 측정망을 확충해 항만 대기 질을 지속해서 관리한다.

정부는 “항만은 국내 수출입 화물의 99% 이상을 처리하는 국가 경제의 요충지”라며 “그런데도 국내 미세먼지 배출원의 10%를 차지하는 선박과 대형 경유 자동차 등으로 인해 미세먼지 주요 배출지로 꼽힌다”고 지적했다. 정부는 “항만 지역 내 노후 경유차 출입 금지와 날림 먼지 발생시설 관리 강화 등 추가 대책을 마련해 시행하기로 합의했다”며 “이후에도 정기적인 정책협의회를 통해 이행상황을 점검하고 협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신현주 인턴기자 apple2609@sedaily.com

신현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