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이론보다 실증' 강조했던 美 노동경제학자 앨런 크루거 사망

자택에서 스스로 목숨 끊어

오바마·클린턴 정부서 요직 맡아

앨런 크루거 프린스턴대 교수가 지난 2011년 8월 29일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CEA) 위원장으로 지명된 뒤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과 악수하고 있다. /워싱턴DC=AP연합뉴스앨런 크루거 프린스턴대 교수가 지난 2011년 8월 29일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CEA) 위원장으로 지명된 뒤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과 악수하고 있다. /워싱턴DC=AP연합뉴스



‘위대한 개츠비 곡선’ 개념을 통해 소득 불평등을 비판했던 미국의 노동 경제학자 앨런 크루거 프린스턴대 교수가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향년 58세.

크루거 교수의 가족들은 그가 극단적 선택으로 생을 마감했다고 18일(현지시간) 성명에서 밝혔다. 경찰은 지난 16일 아침 자택에서 쓰러져있는 크루거 교수를 발견했지만 그가 다음날 사망 선고를 받았다고 설명했다.


크루거 교수는 버락 오바마 행정부 시절 재무부 차관보,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CEA) 위원장으로 활약했다. 빌 클린턴 행정부 시절에는 노동부에서 수석 이코노미스트로 활동했다.

관련기사



1987년부터 프린스턴대에서 경제학을 가르쳐 온 크루거 교수는 실업과 노동시장에서 교육의 효과 문제를 주로 연구했다. 그의 대표적 연구 사례는 2012년 CEA 위원장 시절 대통령에게 보고했던 ‘위대한 개츠비 곡선’을 꼽을 수 있다. 가난한 농부 아들이 부자가 되는 소설 ‘위대한 개츠비’에서 착안한 이 이론은 소득 불평등이 커질수록 세대 간 계층 이동성이 작아진다는 것을 보여주는 곡선이다.

크루거 교수는 1995년 공저로 내놓은 저서 ‘신화와 측정: 최저임금에 대한 새로운 경제학’을 통해 정책 효과를 예측할 때 지나치게 이론에 의존하기보다 실증을 중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가 1993년 최저임금이 인상됐지만 일자리가 줄지 않았던 뉴저지의 패스트푸드 레스토랑 사례를 이용해 최저임금 인상이 반드시 일자리 손실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라고 주장한 것도 이같은 이유 때문이다.

오바마 전 대통령은 성명에서 “주말 동안 미국은 우수한 경제학자 한 명을 잃었다. 그는 경제 정책을 추상적인 이론의 문제가 아니라 사람들의 삶을 더 낫게 만드는 방법으로 여겼다”며 크루거 교수의 죽음을 애도했다. 크루거 교수의 지도를 받은 제이슨 퍼먼 하버드대 교수는 트위터에서 “그의 설득력있는 실증연구는 영원한 유산으로 남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창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