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2023년 연매출 1,000억 로봇기업 20개 만든다

제조부문에 70만대 보급 등

로봇시장 규모 15조로 확대

문재인 대통령이 22일 대구 달성군 현대로보틱스에서 열린 ‘로봇산업육성 전략보고회’에 참석해 로봇 작업을 시연하고 있다. /연합뉴스문재인 대통령이 22일 대구 달성군 현대로보틱스에서 열린 ‘로봇산업육성 전략보고회’에 참석해 로봇 작업을 시연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올해 말까지 뿌리, 섬유 등 전통 제조업에 제조로봇 7,600여대와 사회적 약자를 위한 돌봄로봇 1만대를 공급하는 등 로봇산업 육성에 나서기로 했다. 이를 통해 2023년까지 연매출 1,000억원 이상의 로봇기업 20개를 육성하고 국내 로봇 산업을 15조원 규모로 발전시킨다는 목표다.

문재인 대통령은 22일 대구에서 열린 ‘로봇산업 육성전략 보고회’에 참석해 “정부부터 로봇 보급과 확산의 마중물이 될 것”이라며 이 같은 계획을 밝혔다.


정부는 뿌리, 섬유 분야 등 근로환경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곳에 제조로봇을 집중 보급하기로 했다.전자전기, 자동차 분야에 집중된 로봇을 전통산업까지 확산시킨다는 것이다. 정부는 뿌리, 섬유, 식·음료 등을 중심으로 제조로봇 7,560대를 우선 보급하는 한편 큰 부담 없이 로봇을 활용할 수 있도록 렌탈, 리스 서비스도 도입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지난해 32만대 수준인 로봇 보급량을 2023년 70만대까지 끌어올릴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관련기사



서비스로봇 분야에선 돌봄, 의료, 물류, 웨어러블 로봇을 우선 지원할 방침이다. 선진국 수준으로 기술력을 높이기 위해 2020년부터 3,000억원 규모의 연구개발 사업을 추진한다. 아울러 사회적 약자를 대상으로 한 돌봄로봇 5,000대를 포함해 총 1만대를 보급할 계획이다. 서비스로봇 확산에 걸림돌이 되는 규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로봇산업진흥원 내 ‘로봇 규제 샌드박스 지원센터’도 설치한다.

미국과 일본 등에 의존하는 로봇 핵심 부품과 소프트웨어 국산화도 추진한다. 2020년부터 7년간 약 1,000억원을 투자해 차세대로봇에 지능형 제어기·자율 주행 센서·스마트 그리퍼 등 3대 부품과 로봇 소프트웨어 플랫폼·잡는 기술·영상정보처리·인간로봇 교감 소프트웨어 등 4대 소프트웨어 기술을 확보할 예정이다. 로봇산업을 떠받치는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 제조사와 수요기업을 연결하는 로봇 분야 시스템통합 전문기업(SI)도 육성한다.
/김우보기자·대구=이태규기자 ubo@sedaily.com

김우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