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탈원전에 뿔난 두산重 노조 '상경투쟁'

"줄줄이 퇴직…고용대책 내놔라"

오늘 정부서울청사서 규탄대회

정부의 ‘탈원전 정책’에 직격탄을 맞아 실적이 악화일로인 두산중공업 노동자들이 정책전환과 고용대책을 촉구하는 상경투쟁에 나선다. 지역 상공계에 이어 대표 원전 업체 노조까지 나서 정부의 탈원전 정책에 반발하고 나서면서 파장이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민주노총 전국금속노조 경남지부 두산중공업지회는 28일 오전 11시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확대 간부 40여 명이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발생한 고용위기 대책을 촉구하는 대정부 규탄대회를 연다고 27일 밝혔다. 두산중공업 노조가 정부의 탈원전 정책을 반발해 상경 집회를 여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노조는 “문재인 정부의 에너지 전환 정책으로 신한울 원전 3·4호기 등 원자력발전소 건설 계획이 폐기돼 두산중공업이 위기에 처했다”며 “정부의 정책 변화에 따른 회사의 위기가 고용불안으로 이어지고 있어 노동자를 살리는 정부의 정책전환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원전 일감이 떨어져 회사가 관계사 전출, 희망퇴직, 순환휴직 등을 이어가 노동자들의 고용불안이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라며 “정부가 고민 없이 에너지 정책을 급격하게 전환해 노동자들의 고용불안 해소 방안이 보이지 않고 있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국내 유일 원전 제작업체인 두산중공업의 정규직은 2016년 7,728명에서 지난해 7,284명으로 6% 줄었고, 사무관리직 3,000여 명도 경영악화로 순환휴직을 하고 있다. 53개 사내협력업체 역시 2016년 1,171명에서 2018년 1,002명으로 감소했다. 경남 도내 280여 개 중소 원전 협력업체도 일감 부족으로 고사 위기에 놓여 있다.

탈원전 정책 반대 목소리는 경남 상공계에서 먼저 터져 나왔다. 한철수 창원상공회의소장은 지난 1월15일 청와대에서 열린 ‘2019 기업인과의 대화’ 행사에 참석해 “원전 기자재 기업들이 신고리 5·6호기의 납품이 완료되면 사실상 일거리가 없게 돼 고사할 상황”이라며 신한울 원전 3·4호기 건설 재개를 건의한 바 있다. /창원=황상욱기자 sook@sedaily.com

황상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