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靑 민정수석실. 김학의 지명 전 성 접대 의혹 알고 있었다"

"청와대 자체 보고서 여러 차례 작성됐다"는 주장 제기

"당시 김 전 차관 임명돼서는 안 됐어"

‘별장 성접대’ 혐의를 받고 있는 김학의 전 법무부 차관에 대해 임명 과정 당시 청와대 민정수석실도 해당 의혹을 인지하고 있었다는 주장이 나오면서 청와대의 책임론에 무게가 실어지고 있다./연합뉴스‘별장 성접대’ 혐의를 받고 있는 김학의 전 법무부 차관에 대해 임명 과정 당시 청와대 민정수석실도 해당 의혹을 인지하고 있었다는 주장이 나오면서 청와대의 책임론에 무게가 실어지고 있다./연합뉴스



청와대 민정수석실도 김학의 전 법무부 차관을 지명하기 전부터 ‘별장 성 접대’ 의혹에 대해 충분히 인지하고 있었다는 증언이 나왔다.

당시 민정수석실 사정을 잘 아는 한 인사는 28일 연합뉴스를 통해 “당시 의혹이 불거졌을 당시 청와대 민정수석실도 자체 조사를 거쳐 ‘문제가 있다’는 취지의 보고서를 작성했을 정도”라며 “당시 고위직 인사 때 작성하는 통상적 검증보고와 별개로 민정수석실에서 별개로 김 전 차관의 성 접대 의혹에 관한 조사 보고서를 작성했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공직자 인사검증과 감찰을 담당하는 공직기강 비서관실에서 작성된 것으로 전해졌다. 성 접대 의혹을 제기하는 보고서는 여러 번 작성됐고 심지어 김 전 차관이 법무부 차관으로 부적합하다는 의견이 담긴 것으로 파악된다. 그럼에도 김 전 차관은 법무부 차관으로 지명됐다. 이 인사는 “당시 보고서는 단순히 풍문을 정리한 수준이 아니었다”며 “그 내용으로만 본다고 하더라도 김 전 차관이 임명돼서는 안 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당시 여러 건의 보고서가 작성된 정황으로 보아 김 전 차관이 등장하는 성 접대 동영상의 존재를 민정수석실이 파악하고 있었을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당시 민정수석실 책임자급 인사들은 경찰 관계자들이 “보고했다”는 입장에 대해 “경찰이 허위보고 했다”고 주장하면서 양측 간의 책임 공방이 벌어질 전망이다. 하지만 경찰 수사와는 별개로 민정수석실에서 자체 조사가 이뤄지고 보고서까지 만들어졌다면 청와대도 의혹을 충분히 인지했다는 것으로 책임을 피해갈 수 없을 것으로 예측된다.

관련기사



당시 공직기강비서관이었던 조응천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김학의 성 접대 의혹 관련 보고서를 올렸으나 묵살당했다고 밝혔다. 이에 당시 민정수석이던 곽상도 자유한국당 의원은 “김 차관이 얼마나 대단하기에 시중에 도는 소문이 대통령에게 보고되나”라며 조 의원을 주장을 일축했지만 청와대에서 의혹 관련 보고서가 작성됐다는 주장이 등장하면서 김 전 차관이 이러한 의혹에도 임명이 된 이유가 무엇인지에 대한 의혹이 커지고 있다.

검찰 과거사위원회는 지난 25일 김 전 차관 사건 재수사를 검찰에 권고하면서 2013년 당시 김 전 차관 임명 과정의 의혹도 추가 조사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내놨다.
/최정윤 인턴기자 kitty4199@sedaily.com

최정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