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정부, 고사위기 인문사회학 '심폐소생'...비전임 박사급도 지원

교육부 3등 3개부처 합동 자립가능한 학술생태계 마련나서

교수아닌 연구자에 문호개방...국가지원 연구소 15% 확충

정부가 고사 위기인 인문사회학의 심폐 소생을 위해 교수가 아닌 박사급 연구자들을 지원하고 국가 지원을 받는 인문사회연구소를 15% 늘리기로 하는 등 다양한 대안을 마련했다.

4일 교육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문화체육관광부는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하는 ‘인문사회 학술생태계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3개 부처 합동으로 이뤄진 이번 조치는 국내 4년제 대학 인문계열 학과 수가 2017년까지 지난 10년 동안 14.2%나 급감하는 등 인문 사회학 생태계의 고사 위기가 위험 수위에 도달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방안에 따르면 정부는 지금까지의 대학 중심 연구비 지원 방침에서 벗어나 대학에 속하지 않은 비전임 박사급 연구자들도 한국연구재단을 통해 직접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문호를 개방했다. 지원 기간도 최대 5년으로 늘어나고 평가 방식도 ‘대학 밖’ 연구자들을 고려해 기존의 논문 위주에서 출간·강연 등 대외활동의 비중이 확대된다.

관련기사



또한 현재 227곳인 국가 지원 인문사회연구소의 숫자를 향후 3년 동안 15%가량 늘어난 300곳 수준으로 확대해 대학 내 거점 구축에 일조하고 우수 연구소에 대한 지원 기간도 최장 20년까지로 늘리기로 했다.

아울러 사회에 미칠 영향이 큰 과학기술을 개발할 때에는 인문사회계열 전문가를 참여시켜 법적·윤리적·사회적 파장을 미리 연구하는 ‘인문사회 분석(ELSI·Ethical, Legal, Social Implication)’ 과정이 포함된다. 이밖에 대학 연구소와 기초지방자치단체가 지역 인문자산을 발굴·연구하는 ‘인문도시 사업’도 확대한다.


김희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