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제주 곶자왈 덩굴의 공존 세바우 컵에 담았죠"

본지 '세바우'캠페인 동참한 신동욱 캘리그래피 작가

정여울 작가가 지은 글귀

'덩굴체'로 종이컵에 새겨

제주 자연 상징적으로 표현

환경에 도움 되는 캠페인

글씨를 통해 보탬 됐으면...




“‘ECO&LIFE, 세상을 바꾸는 우리(세바우)’ 캠페인의 취지에 대한 얘기를 처음 접했을 때 ‘의미가 있겠다’고 확신했습니다. 환경에 도움이 되는 캠페인이니 저 역시 글씨를 통해 보탬이 될 수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죠.”

신동욱(42·사진) 캘리그래피 작가는 최근 제주도에 자리한 작업실에서 본지와 만나 ‘세바우’에 쓰이는 종이컵(‘세바우컵’) 디자인에 참여하게 된 의미를 이같이 밝혔다.

세바우는 본지가 제주올레·환경부·한국관광공사·제주특별자치도와 함께 추진하는 자원 순환 캠페인이다. 제주도를 찾는 관광객은 올레길 인근의 세바우 참여 카페에서 음료를 주문해 밖으로 나가면 재활용할 수 있는 세바우컵을 받는다. 음료 한 잔을 마시는 사소한 행동에서도 플라스틱 사용량을 줄이고 자원 순환의 중요성을 생각해보자는 취지다.


종이컵에는 정여울 작가가 짓고 신 작가가 쓴 ‘반딧불의 희망 곶자왈의 생명수/올레길과 사려니숲길의 푸르름/눈부시게 빛나는 우리들의 제주’라는 글귀가 한 줄 한 줄 청록빛 글씨로 새겨져 있다. 모퉁이마다 살짝 곡선을 줘서 전체적으로 부드러운 인상을 준다. 신 작가는 “자연·환경·인간 등을 중심에 놓은 캠페인인 만큼 곡선을 많이 활용한 편”이라며 “한 줄 한 줄을 살펴보면 파도처럼 흐름이 있는데 이런 흐름이 자연스럽게 이어지게끔 디자인적으로 신경을 썼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신 작가는 특히 문체에서 덩굴식물의 느낌이 나게 하는 데 집중했다고 했다. 이는 컵에 새겨진 ‘곶자왈’이라는 글자에서 잘 드러난다. ‘기역(ㄱ)’이나 ‘지읒(ㅈ)’처럼 직선적인 느낌의 자음이 오히려 둥그스름한 모양을 띠고 ‘리을(ㄹ)’은 마치 하나의 생물체와 같은 분위기를 풍긴다. 옆으로 굽이진 채 왼쪽 방사각으로 뻗어 있는 모습이 마치 땅으로 기지개를 켜는 덩굴식물을 떠올리게 한다. 신 작가는 “곶자왈에서는 덩굴식물과 뻗어 있는 식물이 공존하고, 제주의 자연을 상징적으로 나타내는 글자체라고 생각해 일명 ‘덩굴체’의 형태를 이번 작업에 투영했다”고 소개했다.

세바우 종이컵세바우 종이컵


서울에 살던 그는 지난 2014년 말 제주로 내려왔다. 제주도의 환경 보전에 대한 생각을 묻자 내내 차분하던 그의 목소리가 높아졌다. 신 작가는 “아이들을 데리고 바닷가에 자주 놀러 가는데 이주민과 관광객이 급속도로 늘어나면서 5년 전보다 확연히 더러워졌다”며 “일부러 돌 틈에다 쓰레기를 꽂아놓고 바닷가에 쓰레기를 던지는 외부인들을 보면 ‘이렇게 깨끗한 바다를 보고 그러고 싶을까’ 하는 안타까운 생각이 든다”고 토로했다. 이어 “페트병 비닐을 따로 떼서 버리는 등 사람들이 하나하나 조금씩 손을 벌리면 엄청난 변화를 이끌 수 있을 거라는 생각이 든다”고 강조했다.

그가 사회문제에 관심을 가진 계기는 2014년 세월호 참사였다. 그는 ‘잊지 않겠습니다, 행동하겠습니다’라는 세월호 추모 문구를 쓴 주인공이다. 그는 “과거에는 내 작업으로 마음을 따뜻해지는 메시지를 전하고는 했는데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사회 변화에 적극 나서고 있다”며 “이번 세바우 캠페인 역시 나부터 변해야 우리 공동체가 변할 수 있다는 신념을 갖고 참여했고 지속 가능한 삶을 위해 환경을 지키자는 사회 참여적인 메시지가 녹아 있다”고 말했다.
/제주=심우일기자 vita@sedaily.com 사진=권욱기자

심우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