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종목·투자전략

[SEN]셀리버리, 美 당뇨병학회서 비만·당뇨병 치료 신약후보물질 발표

코스닥 상장사 셀리버리(268600)가 오는 6월 미국 당뇨병 학회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이하 ADA)’에서 고도비만과 제2형 당뇨병 치료 후보물질 관련 2건의 발표를 한다고 9일 밝혔다.

오는 6월 7일부터 5일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리는 ADA는 미국 당뇨병 학회에서 주관하는 세계 최고 권위의 비만과 당뇨병 관련 연례학술대회다. 1만5,000여명의 전세계 비만 당뇨 분야의 연구자뿐만 아니라 글로벌 제약사들이 한자리에 모인다.

셀리버리는 ADA 2019 에서 “△‘약리물질 생체 내 전송기술 (TSDT)’을 이용한 고도비만 및 제2형 당뇨병 치료 신약후보물질 CP-deltaSOCS3 개발 △CP-deltaSOCS3의 혈뇌장벽(BBB) 투과 및 뇌 시상하부(hypothalamus) 타켓팅 능력을 통한 식욕억제 통제·체중감량 효능 등 2건을 관련 연구자들과 글로벌 제약사들을 상대로 발표한다. 2건의 연구가 각각 ‘신약 후보물질 도출’과 ‘신약개발 패러다임’ 분야에 선정된 결과다.


비만 제어 연구는 지난 1994년이 시발점이었다. 당시 록펠러대학의 제프리 프리드먼 교수는 식욕억제 호르몬인 렙틴(leptin)을 처음 발견해 과학저널 ‘네이처’에 발표했다. 체내 렙틴 양을 조절하면 비만을 제어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 것이다. 이에 암젠(Amgen)은 2,000만 달러에 인라이센싱(In-licensing)을 통해 임상개발을 진행했지만, 효과가 미미해 실패한 바 있다.

관련기사



셀리버리 측은 “당시 연구가 실패한 이유는 고도비만 환자들은 체내 렙틴 농도가 높지만 렙틴에 반응할 수 있는 생리적 밸런스가 무너진 상태이기 때문”이라며 “‘렙틴 저항성’으로 인해 렙틴의 식욕 억제 기전이 작동하지 못하고 과식이나 폭식하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렙틴 저항성을 극복하려면 혈뇌장벽(BBB)을 투과해 뇌조직 시상하부(hypothalamus)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신약물을 개발해야 한다”며 “문제는 혈뇌장벽 투과가 매우 어려운 문제여서 아직 렙틴 저항성을 극복해 자신이 식욕을 통제할 수 있는 약물이 개발되지 못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현재 비만 치료제는 식욕을 억제하기 위한 향정신성 식욕 억제제와 지방흡수 억제제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문제는 해당 치료제들은 심한 두통, 우울증, 어지럼증, 설사 등의 부작용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연간 2조원에 달하는 비만치료제 시장은 점점 판매량이 정체기에 머무르고 있다. 기존 치료제의 실망스러운 효과와 부작용으로 인해 대다수 비만 환자들이 치료를 포기하면서 오는 2024년엔 오히려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셀리버리 측은 “비만인구가 전 세계 6억명에 달하는 만큼, 비만 치료 시장은 거대한 기회를 갖고 있다”며 “강력한 항 비만 치료 효과뿐만 아니라 안전성이 확보된 치료제를 많은 다국적 제약사들이 찾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번 ADA 발표에 선정된 신약후보물질 ‘CP-deltaSOCS3’는 기존 약물보다 높은 15~25% 체중감량 효과가 있다(기존 약물 5~10%)”며 “현재 진행되고 있는 먹는 캡슐 제형이 성공한다면 부작용 해결뿐만 아니라, 많은 관심을 보이는 글로벌 제약사들과 공동개발 혹은 라이센싱 아웃을 추진할 수 있을 것”이라고 계획을 전했다.

셀리버리 측은 특히 “CP-deltaSOCS3는 제2형 당뇨병에도 효능이 있다”며 “CP-deltaSOCS3가 렙틴 저항성을 극복하는 고도비만 치료제로써 체중 감소뿐만 아니라 인슐린 저항성을 극복하는 제2형 당뇨병에도 적응증을 갖고 있다는 점에서 획기적 바이오신약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회사는 지난 3월 미국특허 등록에 이어 이번 ADA에서 세계 학계에 공식적으로 발표한다는 방침이다.

이소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