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전북, 제3금융중심지 지정 사실상 물건너가

금융중심지추진위, 아직 여건 미성숙 결론

서울·부산 등 기존 금융중심지 글로벌 경쟁력 갖춰야

후보 도시 여건 성숙 봐가며 추가지정 검토

최종구(오른쪽 첫번째) 금융위원장이 12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금융중심추진위원회’를 주재하며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금융위원회최종구(오른쪽 첫번째) 금융위원장이 12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금융중심추진위원회’를 주재하며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금융위원회



전북 지역의 제3 금융중심지 지정이 사실상 물 건너갔다. 금융당국이 현 상황에서 추가로 금융중심지를 지정하는 것보다 서울과 부산 등 기존 지역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는 게 낫다는 판단을 내렸기 때문이다.

금융위원회 산하 금융중심지추진위원회는 1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최종구 금융위원장 주재로 제37차 회의를 열고 이같이 판단했다.

전북혁신도시 제3금융중심지 프로젝트는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 지역공약과 국정운영 5개년 계획에 담겨 있는 개념이다. 서울과 부산에 이어 전북혁신도시를 제3금융중심지로 육성하자는 것이다. 전북 전주시와 완주군 등 2개 지자체에 걸쳐 있는 전북혁신도시는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를 중심으로 하는 자산운용사 특화 금융중심지’라는 캐치프레이즈를 걸고 있다. 세계 3대 연기금인 650조원 규모의 국민연금 기금을 쓰려는 국내외 기금운용사를 전북혁신도시에 집적화하는 모델이다.


하지만 추진위는 전북 지역이 추진한 제3 금융중심지 프로젝트에 대해 현재 여건으로 봤을 때 금융중심지로 지정되기 위한 준비가 더 필요하다고 평가했다. 이날 회의에서 공개된 금융연구원의 ‘금융중심지 추진전략 수립 및 추가지정 타당성 검토를 위한 연구’ 용역 보고서에 따르면 전북 혁신도시는 금융중심지로 지정받으려면 종합적인 정주 여건 등 금융회사가 자발적 이전을 검토할 여건을 만들 필요가 있다고 분석됐다. 농생명과 연기금 특화 금융중심지 모델을 계속해서 논리적으로 구체화할 필요성도 제기됐다.

관련기사



추진위는 보고서를 검토한 뒤 금융중심지 추가 지정문제는 국내 금융중심지 후보 도시 등의 발전 여건의 성숙도를 감안해 지속 점검하고 검토하기로 했다. 현 단계에서는 서울과 부산 등 기존 금융 중심지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는데 집중하겠다는 뜻이다.

실제 추진위는 서울과 부산을 양대 축으로 하는 지난 10년간 금융중심지 정책에 대해 국내 금융산업의 양적 성장과 인프라 개선 등 성과가 있었으나 국내 금융중심지의 글로벌 인지도와 금융산업 경쟁력은 아직 미흡한 측면이 있다고 평가했다. 이는 서울과 부산으로 양분된 이후 두 도시의 국제금융도시 경쟁력이 함께 급락하는 현 상황이 제3금융중심지 지정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된다.

금융위 관계자는 “금융중심지 추가 지정은 정책목표 달성을 위한 다양한 정책대안의 하나”라면서 “국내 금융중심지 후보 도시 등의 발전 여건의 성숙도를 감안해 가능성을 지속 점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서민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