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동시에 3차 북미 정상회담을 거론했다. 다만 비핵화 방식 등 각론에서는 여전히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이 추진하는 대북특사, 트럼프 대통령이 전했을 것으로 보이는 비공개 대북메시지가 향후 정세를 가를 것으로 보인다.
김 위원장은 12일 열린 최고인민회의 2일 차 회의 시정연설에서 “미국이 올바른 자세를 가지고 우리와 공유할 수 있는 방법론을 찾은 조건에서 3차 조미(북미)수뇌회담을 하자고 한다면 한 번은 더 해볼 용의가 있다”고 밝혔다고 조선중앙통신이 13일 보도했다. 김 위원장이 3차 북미회담 가능성을 열어놓은 것은 하노이 회담 결렬 이후 처음이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도 13일(현지시간) 트위터를 통해 “나는 북한 김정은과 개인적인 관계가 매우 좋고, 우리가 서로 어디에 서 있는지 완전히 이해한다는 점에서 3차 정상회담이 좋을 것이라는 데 동의한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의 3차 북미회담 용의에 긍정적인 메시지로 화답한 것으로 풀이된다.
문제는 각론이다. 일단 김 위원장은 “제재해제 문제 때문에 목이 말라 미국과의 수뇌회담에 집착할 필요가 없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며 “올해 말까지는 인내심을 갖고 미국의 용단을 기다려볼 것이지만 지난번처럼 좋은 기회를 다시 얻기는 분명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의 용단’이라는 말과 ‘미국이 올바른 자세를 갖고 우리와 공유할 수 있는 방법론을 찾은 조건’이라는 언급을 고려하면 미국이 요구하는 ‘빅딜’을 수용하지 않겠다는 뜻을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미국도 물러서지 않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한미 정상회담에서 “다양한 스몰딜이 이뤄질 수 있다”면서도 “현 시점에서 우리는 빅딜을 이야기하고 있다”고 한 점에 미뤄 여전히 빅딜에 무게추를 두고 있다.
이에 따라 관건은 문 대통령이 파견을 추진하는 대북특사가 될 전망이다. 청와대는 문 대통령의 중앙아시아 순방 3개국 순방 기간(16~23일) 중이라도 대북특사를 파견한다는 계획이다. 한미 정상회담에서 공개되지 않은 트럼프 대통령의 대북 메시지가 있을 것으로 보이는데, 대북 특사는 이를 갖고 방북할 것으로 보인다. 북한 입장에서도 일단은 3차 북미회담 가능성을 열어놨고 미국의 메시지를 일단 들여다 볼 필요가 있기 때문에 대북특사를 받아들일 가능성이 높다. 대북특사로는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 서훈 국가정보원장 등이 유력하게 거론되며 일각에서는 이낙연 국무총리 이름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