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총선 D-1년] 인재 발굴 바람...정계개편론..."포기못할 승부" 벌써 총선모드

민주 '조국 차출' 총력전 태세

한국 공천룰 마련 논의 착수

바른미래 이합집산 등 변수 부상




여야가 ‘국정안정론’과 ‘정권심판론’을 앞세워 본격 격돌할 제21대 총선이 1년 앞으로 다가오면서 정치권이 ‘총선 모드’로 빠르게 전환하고 있다.


총선 승리를 위해 주요 정당들이 가장 공을 들이는 부분은 ‘새 얼굴 찾기’다. 더불어민주당에서는 이미 임종석 전 대통령 비서실장, 한병도 전 정무수석, 윤영찬 전 국민소통수석, 백원우 전 민정비서관 등의 출마가 점쳐진다. 아울러 조명균 전 통일부 장관, 김용진 전 기획재정부 2차관 등의 차출과 더불어 조국 청와대 민정수석의 ‘부산 차출론’까지 나온다. 자유한국당은 황교안 대표가 최근 “당장 외연을 넓히는 문제와 관련해 인재영입 작업에 들어가겠다”며 인재 발굴을 예고한 바 있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우리나라가 선거 때마다 전체 의원의 50%가량은 초선이 당선될 정도로 정치를 사람으로 보는 경향이 큰 만큼 여야를 막론하고 인재영입에 나설 것”이라며 “유력 정치 신인들이 이념보다는 여론의 흐름에 따라 당을 선택할 수 있다는 점도 총선 결과를 짐작할 수 있는 포인트”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총선 룰 정비도 양대 정당이 심혈을 기울이는 부분이다. 민주당은 ‘총선공천제도기획단’을 통해 이르면 이달 중 큰 틀에서 총선 룰을 마련할 방침이다. 예측 가능한 공천 시스템을 1년 전부터 마련해 선거 직전 밀실공천으로 인한 당내 분란을 막기 위한 조치다. 한국당도 지난 1일 공천 룰 개정을 위한 신(新)정치혁신특별위원회 산하 공천혁신소위원회 구성을 마무리하고 공천 시스템, 당내 규정, 공천 투명성 제고 방안 등 공천 룰 전반에 대한 논의에 착수했다.

내년 총선의 변수로는 바른미래당·민주평화당을 둘러싼 이합집산 가능성이 주요하게 꼽힌다. 특히 바른미래당은 4·13 국회의원 보궐선거 참패 이후 당내 갈등이 불거지면서 옛 국민의당에 뿌리를 둔 바른미래당과 민주평화당 의원들이 연대 혹은 통합하는 ‘제3지대론’까지 제기되고 있다. 한국당이 내세우고 있는 ‘보수 대통합’도 앞으로 총선의 명암을 가를 요인이다. 이외에도 이낙연 국무총리, 황 대표, 김부겸 전 행정안전부 장관 등 대선 ‘잠룡’들이 선거전에서 어떠한 역할을 할지도 각 정당의 성적표를 좌우할 변수로 거론된다. /안현덕·김인엽기자 always@sedaily.com

안현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