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승강기 안전점검 허술 …경기도, 부실관리 38건 적발

실제로 점검을 하지 않았는데 점검한 것처럼 허위로 시스템에 입력하거나 부분 점검만 하고 모든 항목을 점검한 것처럼 기록을 남기는 등 허술하게 승강기를 관리한 업체들이 무더기로 적발됐다.

경기도 안전관리실 안전감찰팀은 지난 2월 25일∼3월 29일까지 의왕·고양시 등 10개 시·군 21개 시설의 승강기를 불시 감찰한 결과 모두 38건의 위반사항을 적발하고 시정 조처를 내렸다고 15일 밝혔다.

적발내용은 △승강기 자체점검 미실시 및 결과 허위입력 등 8건 △승강기 기계 실내 권상기 오일 누유 방치 등 유지관리 부실 5건 △정기검사 합격증명서 미부착 4건 △승강기 관리카드 및 고장수리 일지 미작성 3건 △승강기 검사자의 안전수칙 미준수 3건 △승강기 문 사이 틈새 방치 2건 △승강기 비상통화 장치 불량 2건 △정기검사 시 유지관리업체 미 입회 등 기타 11건이다.


의왕시 소재 A유지관리업체는 매월 하도록 돼 있는 승강기 점검을 지난달에 하지 않았는데도 했다고 시스템에 허위로 입력했다. 또 승강기 안전공단에서 시행하는 정기검사에 자사 직원이 입회하지 않았는데도 한 것처럼 거짓말을 한 사실도 적발됐다.

관련기사



복지관의 승강기를 관리하는 군포시 소재 B업체는 승강기 일부 항목만 점검했는데도 모든 항목을 점검한 것처럼 허위로 서류를 꾸미고 승강기 권상기의 오일 누유를 방치하는 등 안전관리를 부실하게 해도다가 적발됐다.

고양시 소재 C업체는 검사합격증명서 원본을 부착하지 않았고, 수원시 D업체는 유효기간이 지나 폐기된 증명서를 부착했다.

도는 이번 감찰결과를 토대로 시정 24건, 통보 9건 등 모두 38건에 대해 조치했다. 특히 자체점검을 허위로 하고 점검기록을 작성한 4건에 대해 업무정지를, 검사합격증명서 미 부착 등 5건에 대해서는 과태료를 부과할 예정이다. 경기도에는 공동주택 등 53종 시설에 약 17만 개의 승강기가 설치돼 있다.

송재환 경기도 안전관리실장은 “이번 안전감찰 과정에서 지적된 사례는 해당 기관 뿐 아니라 도내 시·군 재난관리책임기관에 사례를 전파해 문제점이 반복되지 않도록 할 계획”이라며 “불시 안전감찰을 계속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