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제·개혁법안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 지정을 두고 여야가 비상체제를 유지하는 등 ‘살얼음판’ 대치를 이어갔다. 사법개혁특별위원회(사개특위)·정치개혁특별위원회(정개특위) 전체 회의 개의에 대해 ‘강행이 어렵다’와 ‘기습 소집이 가능하다’는 관측이 엇갈리면서 국회가 폭풍전야에 휩싸인 모습이다.
28일 정치권에 따르면 더불어민주당·자유한국당은 이날도 각자 비상대기 체제를 가동했다. 민주당의 경우 국회 본회의장 맞은 편인 예산결산특별위원회 회의실을 임시 대기실로 활용했다. 전체 의원을 23~29명씩 4개 조로 나눠 예결위 회의실을 지키는 방식이었다. 이날 오후 5시 기준 40명이 넘는 의원들이 회의실에 모여 패스트트랙 추진 대책을 숙의하는 등 당번이 아닌 경우에도 현장을 찾아 원내 지도부와 전략을 공유했다.
한국당도 국회 회의장 점거 농성으로 맞불을 놨다. 지난 24일 밤부터 이어진 나흘 연속 점거농성이다. 한국당 의원들은 이날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회의실 문을 안에서 걸어 잠그고 ‘버티기’에 돌입했다. 이는 공직선거법 개정안이 상정되는 정개특위 회의가 이곳에서 열릴 가능성에 대비한 것이다. 또 한국당은 전체 의원을 오전과 오후, 숙박, 항시 대기 등 조로 편성해 대기하도록 했다. 50여명의 보좌진과 당직자도 별도 소집해 회의실 밖을 지키도록 했다.
주말 수십 명의 여야 의원의 출근은 자체가 이례적이다. 통상 의원들이 주말에는 지역구를 돌아다니며 주민과 소통하는 데 매진하고 있어서다. 그만큼 선거제·개혁법안 패스트트랙 지정을 사이에 둔 여야간 대치가 심각하다는 점도 의미한다.
한 야당 관계자는 “여야 의원들이 주말까지 반납한 채 비상 대기를 하는 이유는 혹시 모를 돌발상황 때문”이라며 “숨 고르기 이후 내주 초 다시 여야가 사개특위·정개특위 전체 회의 소집을 두고 다시 격돌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으나 안심하기는 힘든 터라 비상체제를 이어가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