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상승궤도 탄 의료기기…연생산 6조 돌파

건보 확대에 임플란트 생산 1조 넘어

초음파진단장치 등 수출액도 11%↑

지난 17일부터 19일까지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개최된 ‘바이오코리아 2019’ 행사 전경. /서울경제DB지난 17일부터 19일까지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개최된 ‘바이오코리아 2019’ 행사 전경. /서울경제DB



국내 의료기기 생산실적이 지난해 처음으로 6조원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범용초음파영상진단장치 등 의료기기 수출이 큰 폭으로 늘어난데다 건강보험 적용확대로 치과용임플란트 수요가 급격하게 증가하며 생산실적에 날개를 달아준 것으로 풀이된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난해 국내 의료기기 생산실적이 6조5,111억원으로 처음으로 6조원을 돌파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는 5조8,232억원을 기록했던 2017년보다 11.8% 증가한 수치다. 최근 5년간 의료기기 생산실적은 평균 9.0%로 급성장하고 있다. 식약처에 따르면 연도별 의료기기 생산실적은 △2014년 4조6,048억원 △2015년 5조16억원 △2016년 5조6,031억원으로 증가세다. 식약처 관계자는 “지난해 국내 의료기기 생산 증가율은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2.7%를 큰 폭으로 웃도는 수치”라고 강조했다.



지난해 의료기기 시장규모는 6조8,179억원으로 전년보다 10.0% 증가했으며, 최근 5년간 평균 성장률도 8.1%의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품목별로는 치과용임플란트 생산이 1조731억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범용초음파영상진단장치(5,247억원), 성형용 필러(2,271억원) 순이었다. 치과용임플란트 생산이 꾸준히 증가한 것은 인구 고령화와 건강보험 적용 확대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의료기기 수출 역시 큰 폭으로 증가했다. 지난해 의료기기 수출액은 3조9,723억원으로 2017년 대비 11.0% 늘었고, 수입은 4조2,791억원으로 전년 대비 8.3% 증가했다. 수출이 가장 많았던 품목은 범용초음파영상진단장치(6,467억원)이었으며, 이어 치과용임플란트(2,718억원), 성형용 필러(2,341억원) 순이었다. 특히 수출 상위 30개 품목 중 전년 대비 수출이 많이 늘어난 품목은 에이즈, B형·C형 간염 등 면역검사시약으로 2017년 499억원 대비 955억원으로 무려 91.3%의 증가를 했다고 식약처는 설명했다.


식약처 관계자는 “의료기기 산업 육성 및 혁신의료기기 지원법과 체외진단의료기기법 제정 등을 통해 의료기기산업 육성을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며 “우수한 의료기기의 신속한 제품화를 통해 국민 건강 증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박홍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