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과 원자력 등 한국 경제를 이끌어온 주력 산업들의 성장세가 크게 약화되면서 관련 학과 역시 해를 거듭할수록 학부생은 물론 석·박사과정 대학원생 모집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주력 산업 분야의 고급인재 수급이 원활하지 않은 것도 문제지만 인공지능과 로봇·신소재 등 향후 한국 경제를 이끌 4차 산업 분야에 대한 인재 양성도 기대에 못 미치고 있다는 것이 더 큰 위기징후라는 지적이 나온다.
7일 본지가 박경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서 입수한 ‘최근 5년간 국내 과학기술특성화대 대학원 입학 현황’ 자료에 따르면 주력 산업 분야 학과를 따로 모집하지 않는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을 제외한 4개 대학 대부분이 지난해 원자력·기계공학 등 관련 학과 지원·등록 인원이 감소세를 나타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과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지원·등록 인원 모두 전년도에 비해 줄었다. UNIST의 경우 지원·등록 인원은 각각 122명, 58명으로 전년 대비 8.3%, 12.1% 줄었다. GIST는 지원·등록 인원은 각각 134명, 47명으로 지난해에 비해 15.7%, 2.1% 감소했다. KAIST의 경우 지원자가 줄었지만 등록 인원은 늘었다. 지원 인원 낙폭은 15.7%가 감소한 GIST가 가장 컸고 등록 인원은 전년 대비 12.1% 줄어든 UNIST가 가장 큰 폭의 감소세를 나타냈다.
주력 산업 분야의 인재이탈도 문제지만 4차 산업 분야의 고급인력 양성도 원활하지 않아 우려를 키운다. 지난해 국내 과기특성화대의 전자·전기·컴퓨터·로봇·신소재 등 4차 산업 관련 학과 대학원에 등록한 인원은 총 1,266명으로, 2014년(1,140명)에 비해 126명 증가하는 데 그쳤다.
김창경 한양대 과학기술정책학과 교수는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원자력 산업이 위축되고 조선업 불황이 장기화하고 있는 상황을 아는 학생들이 선뜻 지원할 수 없을 것”이라며 “대학들이 먼저 기존 학과를 신산업과 접목해 주력 산업 학과 학생들이 자연스레 4차 산업 분야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이어 “4차 산업혁명이 온다고 해서 조선업이 필요없는 것은 아니다”라며 “미래에는 자율주행 선박들이 기존 선박을 대체하게 될 텐데 기존 주력 산업과 4차 산업을 융복합하는 교육이 요구되는 시점”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