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로봇산업진흥원, 수중청소등 12개 로봇 연내 수요처 투입

한국로봇산업진흥원이 개발 완료된 다양한 용도의 로봇을 연말까지 수요처에 직접 투입하는 등 로봇시장 확대에 적극 나선다.

한국로봇산업진흥원은 8일 ‘시장창출형 로봇보급’과 ‘로봇활용 사회적약자 편익지원’ 등 로봇 보급과 관련한 2개 분야 지원과제(12개 로봇)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로봇 제작 및 로봇 구동을 위한 테스트베드 구축에 52억원을 지원하고 연말까지 각 수요처에 투입한다. 해당 로봇은 발전소 냉각탑을 청소하는 수중로봇, 사람과 함께 작업하는 협동로봇, 요양병원 일손을 돕는 배설케어로봇, 독거노인 안전케어로봇 등이다.

발전소 냉각탑 청소로봇. /제공=한국로봇산업진흥원발전소 냉각탑 청소로봇. /제공=한국로봇산업진흥원



먼저 수중청소로봇은 한국지역난방공사 발전소 냉각탑 청소에 투입된다. 기존 냉각탑 청소를 위해서는 발전소 가동을 멈추고 냉각탑에 있는 1만톤의 물을 모두 뺀 상태에서 사람이 직접 냉각탑 안으로 들어가야 했다. 그러나 로봇을 투입하면 발전소 가동을 멈추지 않아도 되고 근로자 안전사고도 예방할 수 있다.

협동로봇은 중소기업의 조립·부착·포장·성형 등 노동집약형 제조 공정에 투입된다. 이를 통해 협동로봇 기반의 스마트공장 테스트베드를 구축한다. 사람이 수행하는 작업을 돕는 협동로봇은 로봇이 공정이 투입돼도 인력을 줄이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 장점이다. 진흥원은 협동로봇기업의 싱가포

배설케어로봇. /제공=한국로봇산업진흥원배설케어로봇. /제공=한국로봇산업진흥원


르·이집트·태국 등 해외 진출도 지원한다.


배설케어로봇은 요양원·요양병원, 재가복지 등에 활용해 사회적 약자의 삶의 질 향상과 돌봄 인력의 부담을 줄이게 된다. 누워서 생활하는 와상환자의 몸에 비데 기능을 갖춘 로봇을 부착해 배설 편의를 돕는다. 스마트 토이봇은 독거노인 등에 보급해 안전케어, 치매예방, 투약지원 등 노인복지 서비스 향상에 활용한다.

관련기사



문전일 한국로봇산업진흥원장은 “이번 과제는 로봇기업의 매출·수출 증대는 물론 사회 안전, 삶의 질 향상 등 사회적 가치 창출에도 기여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대구=손성락기자 ssr@sedaily.com

손성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