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압도적인 찬성에 '버스대란' 불가피…오늘 저녁 투표결과 나온다

경기지역자동차노동조합 노조원들이 8일 파업 찬반투표를 하기 위해 경기 용인시의 한 버스 업체 차고지에 마련된 투표장으로 들어가고 있다. /용인=연합뉴스경기지역자동차노동조합 노조원들이 8일 파업 찬반투표를 하기 위해 경기 용인시의 한 버스 업체 차고지에 마련된 투표장으로 들어가고 있다. /용인=연합뉴스



지역별 버스노조 파업 찬반투표에서 파업이 속속 가결되고 있는 가운데 서울과 수도권, 부산, 대구 등 전국 234개 버스사업장 노동조합의 파업 찬반투표 결과가 9일 오후 공개될 전망이다.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 전국자동차노동조합연맹(자동차노련)에 따르면 전날 부산과 대구, 울산, 충남 지역 버스사업장에서 실시한 찬반 투표 결과와 이날 실시되는 서울, 경기도 지역 등의 투표 결과를 취합해 이날 오후 6~7시께 공개한다는 방침이다.


지난달 29일 전국 자동차노련 소속 479곳 중 절반가량인 234개 사업장이 동시에 쟁의조정 신청을 한 상태로 운전기사 4만1,000여명, 버스 기준으로는 약 2만대에 해당한다.

사업장별로 버스기사 절반 이상이 찬성해 투표가 가결되고 쟁의 조정이 이뤄지지 않으면 오는 15일부터 전면 파업에 들어가게 된다.

전국 노선버스 2만대 가량이 운행을 멈추게 되는 것으로 시민들의 대중교통 이용에 큰 차질이 빚어질 것으로 우려된다.


서울의 경우 버스 7,500대, 노조원 1만7,000여명으로 가장 많은 가운데 서울 버스노조 파업이 의결되면 오는 15일 서울 시내버스 전체 노선 운행이 중단된다.



/연합뉴스/연합뉴스


버스 노조가 파업 찬반투표를 실시하는 배경은 주52시간제 적용 대상에 노선버스업이 포함된 것이 주된 원인이다.

노선버스 업종은 ‘무제한 노동’이 가능한 주 52시간제 적용 제외 특례업종이었지만 지난해 근로기준법 개정에 따라 노동시간 제한 특례업종에서 제외됐다. 1년 간의 유예 기간을 거쳐 오는 7월1일부터 적용받게 된다.

법적 노동시간이 줄어들면 버스운전기사들은 휴식을 보장받을 수 있게 되고 승객의 안전 문제도 종전 보다 개선될 수 있다. 하지만 버스 운전사들은 초과 근무 수당이 줄어들기 때문에 임금이 감소할 수 밖에 없다.

자동차노련은 경기지역 버스 운전사의 경우 주 52시간제를 적용하면 근무일수가 3~4일 줄어들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임금으로는 월 80만∼110만원 정도 줄어든다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버스 회사들은 임금 보전까지 하면서 노동시간단축에 따른 추가 인력을 채용할 여력이 없다는 입장을 밝히면서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노조와 버스 회사들은 중앙 정부의 지원에 대한 목소리도 높이고 있다.지자체 재정으로 한계가 있으니 중앙 정부가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다.

김경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