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기물을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탈바꿈하는 데 적극적인 해외 선진국과 달리 국내 물질재활용 시장은 여러 애로사항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물질재활용 제품의 품질을 높이는 동시에 사회적인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공공 부문에서부터 재활용 제품의 사용을 활성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는 이유다.
14일 물질재활용 업계에 따르면 국내에서 폐기물을 재활용해 만들어지는 성형제품은 주로 통신맨홀이나 정화조, 기와, 블록 등 토목 자재가 대부분이다. 폐플라스틱을 활용해 생산한 목재 대용품으로 탁자나 의자 등의 완제품을 만들어 내는 등 고부가가치 물질재활용이 활발한 해외 선진국의 모습과는 거리가 멀다.
이는 국내 물질재활용 업체들이 제품 상용화 과정에서 여러 어려움을 겪는 탓이다. 부족한 자금력은 가장 큰 문제로 꼽힌다. 영세 기업들이 대부분이어서 생산설비 투자가 쉽지 않다. 국가에서 주는 지원금 대비 전기료나 수선비, 폐기물 처리비용 비중이 크고 급등한 인건비도 기업을 위축시키고 있다. 제품 품질과 기술력이 떨어지는 것 역시 경쟁력을 낮추는 요인이다.
사회적 인식도 물질재활용 시장의 확대를 막는다. 기피 업종으로 인식되는 탓에 인력채용 자체가 쉽지 않은데다 공장 인근 주민들이 혐오 시설이라며 항의하는 경우도 부지기수다. 업계 관계자는 “이런 문제를 모두 극복하고 높은 품질의 제품을 생산해도 재활용된 물건이라며 색안경부터 끼고 본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커지는 폐기물 문제 해결을 위해서라도 정부가 물질재활용 시장을 적극 지원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환경부는 우선 재활용 제품의 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정부의 연구개발(R&D) 지원을 확대할 방침이다. 공공 부문부터 재활용 제품 사용을 활성화하고 민간의 인식을 개선하기 위한 지역 순환형 재활용제품 구매 시범사업도 추진한다. 환경부 관계자는 “환경부와 지자체, 유관기관 협의체 간의 업무협약으로 지역순환형 재활용제품 구매 시범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라며 “장기적으로는 공공기관 발주공사 등에서 물질재활용 건축자재 사용을 확대하고 각 지자체에서 발생한 폐기물로 만든 재활용 제품을 일정 비율 이상 해당 지자체에서 의무 사용하는 방안도 추진한다”고 강조했다.
/세종=정순구기자 soon9@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