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부산시, 전세버스 300대·도시철도 증편 등 버스파업 대책 세워

전세버스 등 대체교통수단 무료 운행

도시철도·경전철·동해선 증편, SNS 상황실 운영 등

부산시가 노사협상 결렬 시 15일 새벽 4시로 예정된 시내버스 파업에 대비해 전세버스 등 대체교통수단을 무료로 운행하고 도시철도·경전철·동해선을 증편하기로 했다.

부산시는 14일 오후 시내버스 파업에 대비해 관계기관 대책회의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는 주요 관계기관장과 구·군 단체장이 참석했다. 부산시는 2007년 시내버스 준공영제 시행 이후 처음으로 벌어질 수 있는 전면 파업은 막기 위해 노사협의를 적극 중재하는 한편 시장을 본부장으로 하는 비상수송대책본부를 운영하고 구·군, 버스조합, 관계기관과 비상대응 협력체계 구축했다.


15일 새벽 4시부터 시내버스가 파업에 들어가면 부산시는 비상수송대책으로 전세버스 300대, 시·산하기관·경찰청· 군부대 보유 버스, 렌트카 등을 도시철도와 마을버스 등이 없는 지역과 출퇴근 시간에 우선 투입하기로 했다. 이용은 무료이다. 기존 교통수단인 도시철도, 부산~김해경전철, 동해선은 평상 시 운행 수준의 10% 이상 증편하고 출퇴근 등 혼잡시간대에 집중 배차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또 택시부제 및 승용차 요일제를 해제하고 공공기관 직원 중 차량이용 출근자를 대상으로 ‘승용차 함께 타기’를 통해 시민들과 함께 가까운 도시철도역이나 정류장으로 이동을 권장할 계획이다. 각 기관과 단체 등에는 등교 및 출근시간 조정을 협조 요청했다. 이와 함께 시내버스 파업으로 인한 시민들의 불편과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버스 정류장에 노선도나 안내 요원을 배치하고 시민 대처 요령을 제작 배포하기로 했다.

시청에는 비상수송대책본부를 24시간 가동하고 파업현황을 지속적으로 파악해 비상·예비차량이 원활하게 운행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특히 재난대응상황에 준해 SNS 상황실을 꾸려 시의 대응상황을 실시간으로 전파하고 비상수송계획을 안내하며 시민 문의 등에 실시간으로 대응할 예정이다. 오거돈 부산시장은 “시내버스 파업에 이르지 않고 임단협 협상이 타결될 수 있도록 전력을 다해 노사 양측을 설득해 나갈 것”이라며 만일의 경우를 대비해 비상수송대책에 최선을 다할 나갈 계획”이라 말했다.
/부산=조원진기자 bscity@sedaily.com

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