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황교안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했다

문재인 정부 들어선 3년 연속 제창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왼쪽에서 세 번째부터)와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 손학규 바른미래당 대표, 정동영 민주평화당 대표가 18일 오전 광주 국립5·18민주묘지에서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 중 임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하고 있다./연합뉴스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왼쪽에서 세 번째부터)와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 손학규 바른미래당 대표, 정동영 민주평화당 대표가 18일 오전 광주 국립5·18민주묘지에서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 중 임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하고 있다./연합뉴스



광주 시민의 격렬한 항의 속에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에 참여한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가 ‘임을 위한 행진곡’을 함께 불렀다.


황 대표는 18일 오전 10시 광주 5·18 민주 묘지에서 열린 기념식에 참여해 행사의 마지막 순서였던 ‘임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했다. 문재인 대통령을 비롯해 황 대표와 이해찬 더불어민주당·손학규 바른미래당·정동영 민주평화당·이정미 정의당 대표 모두 함께 자리에서 일어나 노래를 따라 불렀다. 황 대표의 제창이 이목을 끄는 것은 그가 총리였던 당시에는 노래를 따라 부르지 않았기 때문이다. 지난 박근혜 정부 시절 2016년 황 대표가 총리 자격으로 기념식에 참석했을 땐 자리에서 일어났을 뿐 노래를 부르진 않았다.

관련기사



‘임을 위한 행진곡’은 1982년 소설가 황석영 씨와 10여 명의 문인, 당시 전남대생인 김종률 씨가 만든 곡으로 그동안 각종 집회에서 널리 불린 민중가요다. 5·18이 정부 기념일로 제정된 1997년부터 2008년까지 해마다 5·18 기념식에서 참석자 전원이 기념곡처럼 함께 불렀다. 그러나 황석영 씨의 행적과 제목, 가사에 들어있는 ‘님’과 ‘새날’이 북한의 김일성과 사회주의 혁명을 뜻한다는 일각의 문제 제기로 이명박 정부 2년 차인 2009년 제창이 아닌 합창으로 대체됐다. 이후 제창 허용을 둘러싼 논란은 보수와 진보 간 이념 갈등으로 비화하며 해마다 5월이면 이슈로 떠올랐다. 문 대통령이 당선되고 제창을 직접 지시하면서 2017년 기념식부터는 참석자 모두 함께 부르는 제창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5·18 기념식에서는 3년 연속 모두 임을 위한 행진곡을 함께 부르게 됐다.


김인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