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주택

‘무주택 실수요’ 30대, 서울 아파트 매입 주도 세력으로 부상

전통적 매입 주도 세력 40대 턱밑까지 쫓아

전체 주택 놓고 볼 땐 여전히 자금력 높은 40·50대 강세 보여

서울 시내 아파트 풍경/서울경제DB서울 시내 아파트 풍경/서울경제DB



올해 들어 주택거래량이 급감한 가운데 무주택 실수요층이 많은 30대가 아파트 시장의 주도 세력으로 급부상했다.

한국감정원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연령대별 주택·아파트 매매거래량 통계에 따르면 올해 1∼4월 서울 아파트 매매건수는 총 7,795건으로 이중 30대와 40대가 각각 26.1%, 27.1%의 비중을 차지했다. 통상 아파트 매입 비중이 가장 큰 것으로 알려진 40대가 주택 거래 규제 강화로 주춤한 가운데 30대의 매입 비중이 급증한 것이다.


실제 올해 1월 관련 통계가 처음 발표됐을 때만 해도 40대가 28.4%를 차지해 30대 25.4%와 격차를 보였다. 하지만 2,3월 들어 30대의 매입 건수가 40대를 앞지르며 1·4분기 총 매입 비중을 볼 대 30대(26.7%)가 40대(26.1%)를 앞질렀다.

관련기사



이는 올 들어 아파트외 단독·다가구·다세대·연립 등을 포함한 서울 전체 주택의 매입 비중이 40대가 22.0%, 50대가 21.9%로 1,2위를 차지한 것과 사뭇 다른 결과다. 서울 전체 주택에서 30대의 매입 비중은 18.1%로 3위다.

이는 최근 다주택자는 물론 1주택자에 대한 대출·세금 규제가 강화되면서 주택 보유 비중이 큰 40대 이상보다 무주택 실수요 중심인 30대의 주택 매입이 상대적으로 활발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김경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