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文 "한반도 평화 구축돼도 한미동맹은 여전"

■한미 군 주요 지휘부 靑 초청 오찬간담회

北 도발 대응에서 '한미동맹 빛났다' 평가

'단도 미사일'에서 '단거리 미사일'로 발언 정정

문재인 대통령이 21일 낮 청와대에서 열린 한미 군 주요직위자 초청 오찬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문재인 대통령이 21일 낮 청와대에서 열린 한미 군 주요직위자 초청 오찬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21일 “한미동맹의 힘으로 한반도의 평화가 구축되더라도 동북아 전체의 평화와 안정을 위한 한미동맹의 역할은 여전히 중요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정경두 국방장관과 로버트 에이브럼스 주한미군사령관 등 한미 군 주요 지휘부 초청 오찬을 열고 이같이 말했다.

문 대통령은 모두발언을 통해 한미동맹의 중요성과 영속성을 거듭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한미동맹은 결코 한시적인 동맹이 아니라 계속해서 위대한 동맹으로 발전해 가야 할 영원한 동맹이라고 생각한다”며 “한미 양국의 위대한 동맹을 위해 끝까지 함께 가자”라고 강조했다. 한미 군사 지휘부를 함께 초청한 오찬은 취임 후 이번이 처음이다. 그런 만큼 이번 오찬이 하노이 회담 결렬 후 비핵화 논의가 교착에 빠진 상황에서 한미 동맹의 굳건함을 재확인하기 위한 취지에서 이뤄진 게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 바 있다.


특히 최근 잇따른 북한의 발사체 도발과 관련해 “한미 동맹의 공고함과 양국의 긴밀한 공조가 빛이 났다”고 평가했다. 문 대통령은 “양국은 긴밀한 공조와 협의 속에서 한 목소리로 차분하고 절제된 목소리를 냄으로써 북한이 새롭게 추가적인 도발을 하지 않는 한 대화의 모멘텀을 유지해 나갈 수 있게 됐다”며 “함께 긴밀한 공조를 해주신 우리 양군의 지휘부 여러분께 감사를 드리고 싶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문재인 대통령이 21일 낮 청와대에서 열린 한미 군 주요직위자 초청 오찬간담회에 입장하며 제임스 루크맨 주한미군사 기획참모부장 등 참석자들과 인사를 나누고 있다. 오른쪽부터 이승도 해병대사령관, 서욱 육군참모총장, 루크맨, 로버트 에이브럼스 주한미군사령관. /연합뉴스문재인 대통령이 21일 낮 청와대에서 열린 한미 군 주요직위자 초청 오찬간담회에 입장하며 제임스 루크맨 주한미군사 기획참모부장 등 참석자들과 인사를 나누고 있다. 오른쪽부터 이승도 해병대사령관, 서욱 육군참모총장, 루크맨, 로버트 에이브럼스 주한미군사령관. /연합뉴스


문 대통령은 지난해 11월 부임한 에이브람스 주한미군 사령관을 언급하며 공고한 한미동맹을 강조했다. “에이브람스 사령관이 부임하신 이래 한미 동맹은 더욱 굳건해졌고 또 연합 방위 태세가 더욱 철통 같아졌다”고 평가했다. 문 대통령은 “에이브람스 사령관님은 부친이 미 육군참모총장을 역임하셨고 또 삼형제가 모두 장성 출신인 군인 명문 가족 출신이라고 들었다. 뿐만 아니라 부친께서는 한국전쟁 때 한국에서 복무까지 하신, 한국과 인연이 매우 깊은 분이다. 그런 분이 한미 동맹의 한 축을 맡아주고 계신 것은 우리에게 큰 행운이다. 아주 든든하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문 대통령은 북한이 최근 발사한 발사체를 ‘단도 미사일’이라고 언급했다가 이를 ‘단거리 미사일’로 정정하기도 했다. 문 대통령이 모두발언에서 “한미동맹의 공고함과 한미 양국의 긴밀한 공조는 최근 북한의 ‘단도 미사일’을 포함한 발사체의 발사에 대한 대응에서도 아주 빛이 났다”고 언급한 것을 두고 일각에서는 문 대통령이 언급한 ‘단도 미사일’이 ‘탄도 미사일’ 아니냐는 추측도 나왔다. 문 대통령의 이 같은 발언은 북한 발사체의 제원과 성격에 대한 공식 발표를 내놓지 않고 있는 국방부의 입장과 전면으로 배치된다는 점에서 논란이 될 가능성이 높다. 이에 고민정 대변인은 오찬 간담회 후 기자들에게 “(대통령의) ‘단도 미사일’ 발언은 확인해보니 ‘단거리 미사일’을 잘못 말한 것”이라 설명했다.

양지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