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로봇이 간다]"中企만으로는 상용화 어려워…대기업이 로봇분야서 역할할 수 있게 길 터줘야"

■유재관 LIG넥스원 수석연구원

생태계 조성 실패 드론 반면교사

수요 입장서 국책과제 로드맵을"




지난 2011~2012년 무렵 LIG넥스원 연구진에는 특명이 떨어졌다. 소부대 단위로 운용할 수 있는 군용 드론을 시급히 개발하라는 내용이었다. 주어진 시간은 불과 약 3개월. 유재관(사진) 수석연구원 등 개발진은 밤잠을 줄여가며 유동해석을 해가면서 최적화된 형상과 성능의 기체를 완성했다. 6개의 회전날개(헥사로터)가 달린 무인항공기였다.

신기술 개발 성공의 기쁨은 얼마 가지 못했다. 유 수석연구원은 지난달 31일 경남 구미의 자사 생산기지(구미하우스)에서 서울경제신문과 인터뷰를 갖고 “당시에 우리를 비롯한 국내 대기업들이 드론 산업에 의욕을 가지고 뛰어들려고 했지만 사실상 중소기업들만 할 수 있도록 진입장벽이 높아지면서 줄줄이 손을 놓았다. 저희도 개발을 안 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대기업 진입규제는) 드론 분야에서 우수 중소기업들을 키우겠다는 취지였겠지만 결과적으로 드론으로 성공한 중소기업이 없지 않느냐”며 “정부가 국책과제 사업을 통해 중소기업들의 드론 국산화를 지원하고 있지만 쓸모 있는 제품이 별로 없는 게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대기업 진입장벽으로 기술 상용화를 위한 생태계 조성에 실패한 드론 산업을 반면교사 삼으려면 로봇 분야에서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서로 역할을 적절히 분담할 수 있도록 균형 잡힌 생태계 조성이 필요하다는 게 유 수석연구원의 시각이다. 그는 “중소기업이 핵심요소기술들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하되 이렇게 개발된 기술들을 (하나의 로봇 완제품으로 만들기 위해) 통합하는 체계종합기술 분야에서는 대기업이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길을 터줘야 한다”고 제언했다. 그동안 국책 연구개발(R&D) 사업이 중소기업들에 나눠주기식 분배 사업으로 진행되다 보니 이렇게 확보한 기술과 노하우를 하나로 엮어 시장에서 먹힐 수 있는 상용제품으로 완성할 수 있는 기업이 없다는 것이다.



기업들의 로봇기술 개발을 독려하려면 이를 뒷받침할 수요진작 정책도 필요하다고 유 수석연구원은 진단했다. 일본 과학기술원(JAIST)에서 수학했던 그는 “일본은 로봇의 다양한 요소기술을 우리보다 앞서서 확보했는데 이를 위해 정부는 로봇과 관련해 ‘리스’와 같은 금융지원 정책을 폈고, 특히 웨어러블 로봇의 경우 해당 제품과 관련한 보험도 개발해 지원하도록 했다”고 소개했다.

유 수석연구원은 우리 정부가 로봇기술 개발에 꾸준히 투자했음에도 선진국보다 더딘 이유에 대해 “기술 개발을 위한 국책과제가 지나치게 비영리기관 중심으로 이뤄지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따라서 “국책과제 기획 시 기업이나 수요처의 입장을 중심으로 로드맵을 짜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구미=민병권기자 newsroom@sedaily.com

민병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