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1분기 성장률 '-0.4% 쇼크'… GNI도 금융위기 이후 최악

한은 국민소득 잠정 발표

한국은행이 4일 1·4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0.4%라고 밝혔다. 지난 4월 발표됐던 -0.3%보다 감소폭이 확대된 셈이다.


한은은 이날 ‘2019년 1·4분기 국민소득(잠정)’을 발표하고 이같이 밝혔다. 분기 기준으로 경제성장률이 -0.4%를 기록한 것은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8년 4·4분기의 -3.2% 이후 41분기 만에 최저다. 한은 관계자는 “속보치 대비 1·4분기 경제성장률이 악화된 것은 당시 통계에 잡히지 않았던 3월 수치가 추가로 집계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수출 증가율은 속보치 -2.6%에서 -3.2%로 확대됐고 건설투자 증가율도 -0.1%에서 -0.8%로 늘어났다.명목 국민총소득(GNI) 증가율도 -1.4%를 기록해 2008년 4·4분기(-1.5%) 이래 최저를 기록했다 실질 국민총소득(GNI)도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1·4분기 실질 GNI는 452조6,032억원으로 전기 대비 0.3% 감소하며 지난해 2·4분기(-0.6%) 이후 가장 낮았다.

관련기사



지난해 경제성장률은 종전과 동일한 2.7%로 나타났다. 2.4%였던 2012년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1·4분기 성장률 쇼크의 원인은 정부 투자가 큰 폭으로 줄어든 데 있다. 지난해 4·4분기 2.8% 늘었던 정부 투자가 올 1·4분기에는 0.4%로 줄었고 정부의 경제주체별 성장 기여도 역시 전기 대비 -0.6%포인트 빠졌다. 정부의 재정투입 여부에 따라 한국 경제가 좌지우지되는 불안한 구조로 가고 있다는 뜻이다. 이에 정부의 경제정책 기조를 바꿔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이인실 경제학회장은 “효과가 없는 것으로 입증된 공공일자리 확충 등에 나서는 대신 새로운 미래 먹거리를 찾아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형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