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미투운동 동의" 女 62% vs 男 45%...학력·이념으로도 선명한 차이

보건사회연구원 조사 결과 발표

우리나라 국민 절반 '미투운동' 찬성

미투 운동에 동의하는 정도는 성별, 연령별, 이념성향별로 온도차이를 보였다./이미지투데이미투 운동에 동의하는 정도는 성별, 연령별, 이념성향별로 온도차이를 보였다./이미지투데이



우리나라 국민 절반 이상이 ‘미투 운동’에 찬성하는 반면 성별·연령별·이념성향별로 동의하는 정도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드러났다. 5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사회통합 실태 진단 및 대응 방안 연구(Ⅴ)’ 보고서에 따르면 2018년 6∼9월 전국의 만 19세 이상∼75세 이하 성인남녀 3,873명(남성 1,967명, 여성 1,906명)을 상대로 대면 면접조사방식으로 사회갈등 인식 정도를 조사를 분석했더니 이같은 결과를 보였다.

연구팀은 미투 운동 취지에 동의하는 정도를 ‘매우 동의한다’, ‘동의한다’, ‘보통이다’, ‘동의하지 않는다’, ‘전혀 동의하지 않는다’, ‘모르겠다’ 등으로 물은 뒤, 결과를 분석했다. 그 결과, 전체 조사대상자의 53.69%는 ‘동의’(‘매우 동의한다’ 10.14%, ‘동의한다’ 43.53%)했고, ‘동의하지 않는다’는 15.73%(‘동의하지 않는다’ 11.28%, ‘전혀 동의하지 않는다’ 4.45%)로 나타났으며 ‘보통’은 28.26%, ‘모르겠다’는 2.34%였다.

“귀하는 미투운동의 치지에 동의하십니까”에 대한 동의 정도를 나타낸 표/사진제공=한국보건사회연구원“귀하는 미투운동의 치지에 동의하십니까”에 대한 동의 정도를 나타낸 표/사진제공=한국보건사회연구원


미투 운동에 동의하는 정도는 성별·연령별·이념성향별로 온도차를 보였다. 성별로 보면 여성 62.42%, 남성 45.19%로 여성이 남성보다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의하지 않는다’는 여성 12.46%, 남성은 18.91%였다. ‘보통’은 여성 22.92%에 그쳤지만, 남성 33.43%에 달했다. 연령별로는 연령대가 높을수록 동의 비율이 낮아졌다. 20대 이하 58.47%, 30대 57.03%, 40대 55.61%, 50대 54.35%, 60대 이상 49.85% 등이다.


이념적 성향별로는 보수적 47.86%, 중도적 52.22%, 진보적 60.92%로 진보성향의 동의비율이 비교적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학력별로는 중졸 이하 42.17%, 고졸 54.18%, 대졸 이상 56.3% 등으로 학력이 높을수록 동의하는 비율이 높았다. 주관적 소득계층별로는 하층 47.65%, 중하층 54.88%, 중간층 54.62%, 중상층(상층) 56.05% 등으로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동의비율이 올라갔다. 거주지역별로는 대도시 56.7%, 중소도시 51.42%, 농어촌 50.84%였다. 이외에도 직업별, 경제활동 상태별로 차이를 보였다.

관련기사



/김민주 인턴기자 min0704@sedaily.com

김민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